카테고리 없음

내 블로그에 담기

열정의 사나이 2007. 3. 22. 12:20
목록열기 전체목록 (157)
종자산업기사기출 종자기능사기출문제

2007/01/31 11:29

http://blog.naver.com/ogh224/1000337

 

 

    2003년도 산업기사일반검정 제1회<2003년 3월 16일 시행>

1. 상추 종자의 발아 촉진에 유효한 광파장(光波長)은 ?

㉮ 청색광(470nm)   적색광(660nm) ㉰ 초적색광(720nm)㉱ 적외선(770nm)

2. 품종목록 등재의 유효기간은 ?

㉮ 5년             10년             ㉰ 20년             ㉱ 30년

3. 종자의 발아에 필요한 양분을 배젖(유)에 저장하는 것은 ?

㉮ 콩              ㉯ 오이             ㉰ 복숭아           옥수수

4. 두 품종을 구별하기 위해 이용되는 특성 중 실용성이 가장 낮은 것은 ?

㉮ 종자의 색깔                         종자의 품질 분석

㉰ 포장에서 잎의 모양과 크기           ㉱ 종자의 까락

5. 종자의 수명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 종자저장고 내의 온도와 상대습도

㉯ 저장고 내의 산소, 이산화탄소, 질소가스의 농도

종자저장고 내의 종자소독 약제의 살포 여부 ㉱ 종자의 수분 함량

6. 다음 중 반드시 1개의 고유한 품종명칭을 가져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육성한 품종의 종자를 전량 외국에 수출하는 품종

㉯ 품종목록에 등재하기 위해 신청하는 품종

㉰ 품종보호를 받기 위해 출원하는 품종

㉱ 종자를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신고하는 품종

7. 이상적인 종자처리 약제의 특성이 아닌 것은 ?

㉮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한다 ㉯ 약효가 오랫동안 지속되어야 한다

종자에 약해가 다소 있어도 무관하다 ㉱ 사용이 편리해야 한다

8. 정상적으로 수정이 이루어진 피자식물 종자에서 배와 배젖(유)의 염색체 조성은 ?

㉮ 배는 2배체이고 배젖은 1배체이다.  ㉯ 배는 1배체이고 배젖은 2배체이다.

배는 2배체이고 배젖은 3배체이다.  ㉱ 배는 3배체이고 배젖은 2배체이다.

9. 100kg까지의 포장물에서 종자검사용 표본의 추출시 만일 20개의 종자자루가 있다면 몇자루에서             검사용표본을 추출해야 하는가 ?

15자루이상      ㉯ 20자루이상       ㉰ 25자루이상       ㉱ 40자루이상

10. 다음 배추과(십자화과)채소 중 자식약세 현상이 제일 가볍게 나타나는 작물은 ?

㉮ 양배추          ㉯ 순무             서양유채         ㉱ 배추

11. 다음 중 단명종자는 ?

고추            ㉯ 토마토           ㉰ 가지             ㉱ 수박

12. 종자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가 종자관리사를 반드시 두어야만 생산․ 판매할 수 있는 작물의 종자는 ?

㉮ 톨페스큐        ㉯ 비모란선인장     보리             ㉱ 인삼

13. 다음 중 종자업 등록의 취소사유로 올바른 것은 ?

㉮ 종자업자가 2명 이상의 종자관리사를 두지 아니한 경우

㉯ 규정에 의한 시설기준 외에 추가시설을 증설한 경우

㉰ 정당한 사유없이 10개월째 계속하여 휴업한 경우

종자업을 등록한 후 1년 이내에 사업에 착수하지않은 경우

14. 다음 중 벼품종의 품종보호권 존속기간으로 맞는 것은 ?

품종보호권의 설정등록이 있는 날부터 20년으로 한다

㉯ 출원공개가 있는 날부터 20년으로 한다.

㉰ 출원공고가 있는 날부터 20년으로 한다.

㉱ 품종보호사정이 있는 날부터 20년으로 한다.

15. 채종모본을 선발할 때 도태시켜야 할 식물체는 ?

㉮ 품종고유의 특성을 지닌 것           세력이 특히 강한 것

㉰ 병이 없는 것                        ㉱ 정상적으로 자란 것

16. 국가품종목록 등재(성능관리)신청시 첨부할 벼 종자의 시험용 및 보관용 종자시료량으로 알맞게           짝지워진 것은 ?

시험용 : 3,000g  보관용 : 1,800g  ㉯ 시험용 : 6,000g  보관용 : 3,600g

㉰ 시험용 : 3,000g  보관용 : 2,400g  ㉱ 시험용 : 6,000g  보관용 : 1,800g

17. 발아검사시 종이배지의 pH는 얼마인가 ?

㉮ pH 5.0 ~ 6.0   pH 6.0 ~ 7.5   ㉰ pH 7.5 ~ 8.5  ㉱ pH 8.5 ~ 9.5

18. 종자발아력의 간이검정법 중 테트라졸륨(tetrazolium)법에서 발아력이 강한 종자는 어떤 색으로 염색이     되는가 ?

㉮ 흑색            빨간색           ㉰ 노란색           ㉱ 녹색

19. 기계파종을 가장 쉽게 해주는 종자처리방법은 ?

종자단립(과립)처리 ㉯ 저온처리 ㉰ 건열처리 ㉱ 종자프라이밍처리

20. 국제종자검사협회(ISTA)에서 규정한 발아검사용 배지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

㉮ 경량토, 물      ㉯ 흙, 한천         ㉰ 숯, 양액         종이, 모래

제2과목 : 식 물 육 종 학


21. 다음 교배조합을 명시한 것 중 틀린 것은 ?

㉮ A × B → 단교잡 ㉯ (A × B) × (C × D) → 복교잡

[(A × B) × A] × A → 3계교잡

㉱ [A × B × C × D....... × N] → 다계교잡

22. 꽃가루의 영향이 당대에 종자이외의 부분인 과형, 과육, 과즙 및 성숙기 등에 나타나는 현상은 ?

㉮ 크세니아        메타크세니아     ㉰ 직시영향         ㉱ 화분직감

23. 독립유전의 검정에 사용되는 방법은 ?

t 검정       ㉯ 분산 분석        ㉰ C.V(변이계수)의 비교  χ2 검정

24. X성 염색체 위에 특수유전자가 존재할 때 나타나는 유전현상은 ?

반성유전        ㉯ 한성유전         ㉰ 종성유전         ㉱ 연관유전

25. 염색체의 일부 단편이 정상보다 많아지는 현상은 ?

㉮ 결실            ㉯ 전좌             ㉰ 역위             중복

26. 동질 배수체의 작성법이 될 수 없는 것은 ?

㉮ 온도 처리       ㉯ 아세나프텐 처리  ㉰ 절단법           일장 처리

27. 육종상 중요한 변이로 볼수 없는 것은 ?

일시적 변이     ㉯ 돌연변이         ㉰ 교배변이         ㉱ 양적변이

28. 수꽃(웅화)의 착생이 적은 식물에 수꽃(웅화)의 착생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식물생장조절제는 ?

GA              ㉯ B-9              ㉰ NAA              ㉱ Ethephon

29. 다음 중 계통 분리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 계통 집단 선발법  계통 육종법 ㉰ 일수 일열법 ㉱ 가계 선발법

30. 품종 퇴화의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은 ?

㉮ 돌연변이        방황변이      ㉰ 자연교잡     ㉱ 미동유전자의 분리

31. 자가불화합임에도 불구하고 뇌수분(雷受粉)으로 자식종자 생산이 잘되는 식물은 ?

㉮ 가지            무               ㉰ 토마토           ㉱ 시금치

32. 채종포와 같이 많은 집단을 격리시키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

㉮ 봉지 씌우기                         ㉯ 불시재배(不時栽培)

㉰ 망실(網室)                          산간 벽지나 섬에서 재배

33. 어떤 품종의 이삭무게 100개를 측정한 관측치의 표준편차가 20g 이었다. 표준오차는 얼마나 되는가 ?

㉮ 200g            ㉯ 20g              2g               ㉱ 0.2g

34. 양적형질의 유전에 관여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

㉮ 동의 유전자 ㉯ 폴리진(polygene) 단인자 우성 ㉱ 환경

35. 식물체가 가지고 있는 모든 종류의 유전적 저항성은 ?

㉮ 위 저항성       ㉯ 면역 저항성      포장 저항성      ㉱ 고 저항성

36. 생산력 검정시 지켜야 할 사항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 일반 농가에서의 재배방법에 따라서 농민이 직접 재배․평가하도록 한다.

일반 농가에서의 재배방법에 따라 육종가가 재배․평가하도록 한다.

㉰ 가장 이상적인 재배기술을 투입하여 육종가이외의연구원이평가하도록한다.

㉱ 계통육성과정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단반복 재배하여육종가가평가한다.

37.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

㉮ 대립유전자의 수가 많을수록 형질의 고정이 늦다.

㉯ 염색체 조환가가 높아질수록 형질의 호모화가 늦다.

㉰ 여교잡육종에서 목표형질이 열성인 경우는 자식을 한 다음에 선발한다.

여교잡시키는 것보다 자식시키는 것이 형질의 고정이 빠르다.

38. 작물의 기원을 식물 지리적 미분법으로 연구한 학자는 ?

바빌로프(Vavilov)                   ㉯ 드 칸돌레(De Candolle)

㉰ 다윈(Darwin)                        ㉱ 멘델(Mendel)

39. 도입품종에 대하여 도입 1년차에 실시할 검정대상이 되지 않는 것은 ?

㉮ 적응성 검정시험                     ㉯ 품종 비교시험

조합능력 검정시험                   ㉱ 생산력 검정시험

40. 다음은 여교잡 육종법을 설명한 것이다. 적당하지 않은 것은 ?

㉮ 소수의 유전자를 대상으로 할 때 효과적이다.

㉯ 여교잡을 하면 자식했을때 보다 유전자 형이 감소된다.

형질의 고정화 되는 율이 낮다.

㉱ 여교잡은 열악형질의 제거에도 유리한 방법이다.

제3과목 : 재  배  원  론

41. 방사선동위원소의 농업적 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 추적자로서의 이용                   ㉯ 에너지의 이용

㉰ 육종적 이용                         생리활성물질로 이용

42. 벼 도복의 대책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

㉮ 질소를 다량 시용한다.               ㉯ 만기추비를 다량으로 시용한다.

직파재배보다 이앙재배를 한다.       ㉱ 밀식을 한다.

43. 식물호르몬 중 작물의 세포분열을 촉진하며, 잎의 생장촉진, 호흡억제, 엽록소와 단백질의 분해억제,      노화방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은 ?

㉮ 오옥신류        ㉯ 지베렐린         사이토카이닌     ㉱ 플로리겐

44. 다음 중 합성옥신이 아닌 것은 ?

㉮ NAA(naphthalene acetic acid)     ㉯ PCPA(p-chlorophenoxy acetic acid)

BOH(β-hydroxyethyl hydrazine)   ㉱ BNOA(β-naphthoxy acetic acid)

45. 혼작의 효과가 가장 큰 작물은 ?

㉮ 식용작물        ㉯ 원예작물         ㉰ 공예작물         사료작물

46. 벼 담수 토중 직파재배에서 과산화석회를 분의하여 파종하는 이유는 ?

산소공급        ㉯ 석회공급         ㉰ 종자소독         ㉱ 도복방지

47. 종자의 열사 최고온도는 대체로 어느 정도인가 ?

㉮ 30 - 40℃       ㉯ 40 - 50℃        ㉰ 50 - 60℃        80 - 90℃

48. 우리 나라에서 재배되었던 찬서벼의 품종 명칭이 뜻하는 것은 ?

㉮ 재배지          발견자        ㉰ 특유한 특성      ㉱ 육성지를 상징

49. 사료작물을 용도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예취용          ㉯ 청예용           ㉰ 방목용           ㉱ 건초형

50. 식물의 버어널리제이션(춘화처리) 현상을 구명한 사람은?

루이셍코(Lysenko)㉯ 바빌로프(Vavilov) ㉰ 다아윈(Darwin) ㉱ 우장춘

51. 다음 식물 중 장일성식물은 어느 것인가 ?

㉮ 도꼬마리        보리             ㉰ 나팔꽃           ㉱ 국화

52. 광과 작물의 기본생리작용과의 관계가 먼 것은 ?

㉮ 광합성          일비현상         ㉰ 호흡작용         ㉱ 증산작용

53. 작물의 생육습성이나 재배 형편에 따라 이식을 하는데 이식의 양식이 아닌 것은 ? ㉮ 조식           가식         ㉰ 난식         ㉱ 점식

54. 작물의 종자갱신을 지속적으로 해야하는 이유로서 타당하지 않는 것은 ?

㉮ 미고정형질의 분리                   ㉯ 돌연변이

㉰ 자연교잡                            세포의 탈분화

55. 단위결과가 가장 잘 되는 과실로 짝 지은 것은 ?

귤, 포도        ㉯ 복숭아, 감귤     ㉰ 사과, 감         ㉱ 자두, 포도

56. 동일 식물의 줄기와 뿌리의 상하조직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목법은 ?

㉮ 거접(居接)      ㉯ 기접(寄接)       ㉰ 근두접(根頭接)   교접(橋接)

57. 작물이 자연적으로 분화하는 첫 과정으로 옳은 것은 ?

㉮ 순화            ㉯ 고립             ㉰ 다양성           유전적 변이

58. 작물의 흡수압은 ?

㉮  1 ~ 4기압   5 ~ 14기압 ㉰ 15 ~ 28기압 ㉱ 31 ~ 10,000기압

59. 다음 중에서 연작 장해가 가장 큰 작물은 ?

수박            ㉯ 양파             ㉰ 콩               ㉱ 담배


60, 답전윤환재배의 효과라고 할 수 있는 것은 ?

㉮ 지력감퇴      잡초 감소      ㉰ 수량 감소     ㉱ 기지현상의 증가


제4과목 : 식 물 보 호 학

61, 잡초와 작물의 경합요인이 아닌 것은 ?

㉮ 광선            ㉯ 양분             산소             ㉱ 수분

62. 다음 중 바이러스가 식물체에 침입하는 통로는 ?

㉮ 각피            ㉯ 기공             상처             ㉱ 수공

63. 잡초의 방제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

㉮ 작물의 재식밀도를 낮춘다.           작물을 선점시킨다.

㉰ 전체적으로 시비한다.                ㉱ 연작시킨다.

64. 포식성 곤충이 아닌 것은 ?

㉮ 길앞잡이        ㉯ 노린재           각다귀           ㉱ 딱정벌레

65. 살선충제의 구비조건으로 맞는 것은 ?

친유성이어야 한다. ㉯ 다른 동물에 대한 독성이 커야 한다.

㉰ 토양에 휘발이 빠르고 오랫동안 존재해야 한다.

㉱ 물에 대한 용해도가 커야 한다.

66. 다음 중 곤충의 형태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

㉮ 머리, 가슴, 배 3부분으로 구성된다

㉯ 피부는 외골격이라 성장을 위해 탈피를 한다

앞가슴에 앞날개, 뒷가슴에 뒷날개가 있다

㉱ 구기(mouth part)는 저작구, 흡수구, 자흡구 등이 있다

67. 식물병의 발생은 어떤 한 요인에 의해서만 발생하지 않는다. 식물병의 발생에 가장 적게 관여하는 요인은 ?

㉮ 기주식물        ㉯ 환경요인         ㉰ 병원균           유전인자

68. 작물에 병이 발생할 때에는 여러 요인이 종합적으로 관여하게 된다. 병이 발생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어느 것인가?

㉮ 소인            ㉯ 유인             ㉰ 종인             주인

69. 다음 중 주로 빗자루 증상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

파이토플라스마  ㉯ 박테리아         ㉰ 곰팡이           ㉱ 선충

70. 다음 중에서 암발아 잡초는 ?

냉이            ㉯ 소리쟁이         ㉰ 쇠비름           ㉱ 노랑꽃창포

71. 해충 방제에 있어서 생물적방제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

㉮ 방제효과가 빠르다               ㉯ 비용이 많이 든다

생물계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 넓은 면적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다

72. 다음 대기 구성물질들 중 식물에 피해를 일으키는 것은 ?

㉮ N2               ㉯ H2O              O3                ㉱ CO2

73. 곤충의 시냅스(synapse)에서 신경전도에 관여하는 물질은 ?

아세틸콜린       ㉯ 아밀라제        ㉰ 펩신        ㉱ 베타시토스테롤

74. 리바이짓드유제 50%를 1,000배로 희석하여 20L의 약액을 만들려고 할 때 필요한 약량은 ?

㉮ 50 mL            20 mL           ㉰ 100 mL            ㉱ 500 mL

75. 다음 중 농약 살포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 미스트법은 분무법의 1/3 - 1/4 약량을 살포한다

㉯ 스프링클러법은 과수원에서의 노력절감형 살포법이다

폼스프레이법은 기포제가 필요없어 값이 저렴하다

㉱ 스피드스프레이법은 평탄한 과수원에서 생력적이다

76. 다음 농약의 제제형태 중 수화제를 설명한 것은 ?

㉮ 주제의 성질이 지용성으로 물에 녹지 않을 때 이것을 유기용매에 녹여 유화제를 첨가한 것.

㉯ 가수분해의 우려가 없는 수용성의 주제를 물에 녹이고 동결방지제를 가하여 제제화한 것.

㉰ 수용성의 유효성분을 수용성인 증량제로 희석하고 분말상의 고체로 제제화한 것.

비수용성의 주제를 점토광물,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와 혼합․ 분쇄하여 제제화한 것.

77. 다음 중 자낭균 병은 ?

복숭아 잎오갈병 ㉯ 송이버섯 ㉰ 국화 흰녹병 ㉱ 배 붉은별무늬병

78. 다음 병해 중 일반적으로 기주교대를 하는 이종기생성질병은 ?

녹병          ㉯ 깜부기병         ㉰ 맥각병           ㉱ 흰날개무늬병

79. 세계적으로 주요식량 작물과 문제 잡초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식물의 과명은 ? 화본과     ㉯ 국화과        ㉰ 사초과       ㉱ 마디풀과

80. 벼의 저온성 해충이 아닌 것은 ?

㉮ 벼 줄기굴파리  ㉯ 벼 애잎굴파리  ㉰ 벼 잎벌레      벼 끝동매미충

 

 

 2003년도산업기사일반검정 제2회<2003년5월25일시행>

제1과목 :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1. 웅성불임을 이용하여 채종하고자 할 때는 불임계통의 화분을 수분하기 전에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

㉮ 수분 하루전에 제거하여야 한다.   그대로 두어도 된다.

㉰ 뇌수분(雷授粉)을 하여야 한다.    ㉱ 노화수분(老花授粉)을 하여야 한다.

2. 배추의 일대 교잡종 채종에 쓰이는 유전적 특성은 ?

㉮ 웅성 불임성   ㉯ 타가 불화합성   ㉰ 이형예 불화합성   자가 불화합성

3. 식물학상 과실이며 농학상 종자에 해당되는 것은 ?

당근종자       ㉯ 호박종자       ㉰ 가지종자       ㉱ 양배추종자

4. 타가수정 식물의 채종포장으로서 가장 알맞은 곳은 ?

지리적 고립지                    ㉯ 관리가 편리한 도시근교

㉰ 동일작물의 집단재배지            ㉱ 동일작물의 연작지역

5. 품종보호출원품종의 품종의 요건 심사와 관계가 없는 것은 ?

㉮ 구별성         ㉯ 균일성         우량성         ㉱ 안정성

6. 종자관리사의 자격취소에 해당하는 위반사항인 것은 ?

종자관리사 자격과 관련하여 2회이상 이중취업을 한 경우

㉯ 종자관리사 자격과 관련하여 1회이상 이중취업을 한 경우

㉰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중대한 과실로 타인에게 막대한 손해를 가한 경우

㉱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중대한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7.결구상추의 채종재배에서 1주당 채종량 및 천립중에 영향이가장큰비료는 ?

㉮ 황(S)          ㉯ 칼륨(K)        ㉰ 인(P)          질소(N)

8. 경실종자의 휴면타파법과 거리가 먼 것은 ?

MH 수용액 처리 ㉯ 종피파상법  ㉰ 저온처리       ㉱ 건,습열처리

9. 종자산업법상 국가품종목록등재품종의 종자생산을 할 수 없는 자는 ?

종자매매업자   ㉯ 서울특별시장   ㉰ 농업단체       ㉱ 종자업등록자

10. 국가품종목록 등재의 유효기간 연장신청은 유효기간 만료 전 몇 년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

1년            ㉯ 2년            ㉰ 3년            ㉱ 4년

11. 1대잡종 품종의 농업적 의의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

수량성이 높다.               ㉯ 채종이 용이하다.

㉰ F1 종자값이 싸다.            ㉱ 열성유전자를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12. 종자선별에 흔히 이용되는 물리적 특성이 아닌 것은 ?

㉮ 비중           ㉯ 크기           ㉰ 색             구성성분

    

㉮ ① 제1본엽 ② 자엽

㉰ ③ 관근 ㉱ ④ 종자근

13. 그림은 벼의 발아형태이다. 부위별 명칭이 잘못된 것은 ?

14. 다음 중 화아형성에 저온춘화처리를 필요로 하는 작물로 짝지은 것은 ?

㉮ 상추, 무, 양파  ㉯ 양파, 옥수수, 벼 밀, 무, 당근 ㉱ 당근, 콩, 상추

15. 10개의 배낭모세포가 감수분열하여 만드는 암배우자의 수는 ?

㉮ 1개            10개           ㉰ 20개           ㉱ 40개

제2과목 : 식  물  육  종  학

16. 종자 정선 단계에서 어루어지는 작업내용으로만 구성된 것은 ?

㉮ 종자건조, 이형주 제거, 종자검사  ㉯ 종자검사, 정밀정선, 순도분석

㉰ 순도분석, 이형주 제거, 종자소독  종자소독, 정밀정선, 종자건조

17. 콩의 포장검사시 특정병은 ?

㉮ 모자이크병     ㉯ 세균성점무늬병 ㉰ 엽소병         자반병

18. 고온항온건조기법에 의한 옥수수 종자의 수분측정시 130~133℃ 에서 몇 시간 건조시켜야 하는가

㉮ 1시간          ㉯ 2시간          ㉰ 3시간          4시간

19. 2000년 4월 1일 벼 품종을 품종목록에 등재하였다. 유효기간은 언제까지인가 ?

㉮ 2006년 4월 1일㉯ 2006년 12월 31일㉰ 2011년 4월 1일 2011년 12월 31일

20. 벼 종자를 수입하려 할 때 누구에게 수입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

㉮ 농림부장관    종자관리소장   ㉰ 산림청장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21. A,B,C,D의 자식계통으로된 단교배의 수량이 다음과 같을 때, (A × B) × (C × D)의 복교배의 예측 수량은 다음 수치 중 어느 것에 가장 가까운가 ? (A × C = 70, A × D = 65, B × C = 50, B × D = 60)

㉮ 50             61             ㉰ 70             ㉱ 83

22. 무배생식(apogamy)에 관한 기술 중 옳은 것은 ?

반족세포 또는 조세포의 핵이 발달하여 배를 형성하는 것

㉯ 웅성 배우자를 받지 않은 난세포가 단독으로 발육하여 배를 형성하는 것

㉰ 핵을 잃은 난세포의 세포질속으로 웅핵이 들어가서 이것이 단독으로 발육하여 배를 형성하는 것

㉱ 본래 유성생식을 하는 식물이 생식핵의 융합없이 접합자를 형성하는 것

23.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동시에 통계학적으로 추정이 가능한 검정방법은 ?

㉮ 단교잡 검정법 이면교잡 검정법  ㉰ 톱교잡 검정법 ㉱ 다교잡 검정법

24. 생산력 검정시험에서 옳지 못한 방법은 ?

㉮ 사전에 토양의 균일성을 검정한다.

포장 및 재배조건은 인위적으로 최상의 상태로 만든다.

㉰ 반복 실험을 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 포장 배치는 임의 배열 등으로 경합을 피한다.

25.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 수는 많지만 각 유전자의 지배가 분석은 쉽게 할 수 있다.

㉯ 폴리진(poly gene)은 주로 양적형질에 관여하나 개개의 지배가는미미하다.

㉰ 중복 유전자는 유전자 각각의 작용력의 누적효과가 없는 것을 말한다.

㉱ 양적형질에 주동유전자(major gene)가 관여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26. 다음 중 성염색체에 의하여 성의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작물은 ?

㉮ 삼, 고추  ㉯ 고추, 수박  ㉰ 수박, 호프(hop)  호프(hop), 삼

27. 다음 변이의 종류 중 후대에 유전되지 않는 것은 ?

㉮ 유전변이  ㉯ 교배변이  ㉰ 염색체 돌연변이  장소변이

28. 인공교배를 위한 개화기의 조절방법이 아닌 것은 ?

㉮ 파종기에 의한 조절               ㉯ 비배에 의한 조절

㉰ 춘화처리에 의한 조절             삽목에 의한 조절

29. 방황변이의 유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

㉮ 화기의 구조를 조사한다.          후대검정을 한다.

㉰ 당대에 정밀한 형태조사를 한다.   ㉱ 조합능력 검정을 한다.

30. 작물 시험구의 형상으로 가장 적당한 형은 ?

㉮ 원형           ㉯ 타원형         장방형         ㉱ 삼각형

31. 양친의 초장이 각각 100cm와 60cm일 때 F1의 초장이 50cm였다.

이러한 현상은 다음 중 어떤 경우인가 ?

㉮ 완전우성       ㉯ 불완전우성     ㉰ 완전열성       초우성

32. 현재 종묘회사에서 판매하는 채소 품종들은 주로 어떤 종류인가 ?

F1 잡종        ㉯ 재래종         ㉰ 고정종         ㉱ 변이종

33. 순계 분리 육종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

㉮ 순계내의 선발은 의미가 없다.㉯ 유전적으로 불순한 집단이 대상이 된다.

㉰ 자식성 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쉽다. 자식열세가 큰 타가수정작물에서 효과가 크다.

34. 다음 중 품종의 특성이 가장 변하지 않는 것은 ?

㉮ 자식성 작물    ㉯ 타식성 작물    영양번식 작물  ㉱ F1 이용 작물

35. 유전물질의 작용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 유전물질은 대부분 핵안에 있으나 세포질에도 일부 있다.

㉯ 체세포분열에 필요한 유전 물질의 증식은 DNA의 복제에 의한다.

모든 유전자는 외부환경조건에 관계없이 특정의 형질을 표현한다.

㉱ 실용적인 유전물질의 재조합은 유성생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36. 일반적인 환경조건에서 정확한 감별이 불가능하여 형질발현에 적합한 환경에서 검정하여야 하는 형질은 ?

㉮ 수량성         내병성         ㉰ 개화기         ㉱ 초형

37. 동질 배수체를 유발시킬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

㉮ 방사선 조사 ㉯ 종간, 속간잡종 시도 콜히친 처리 ㉱ 중복수정

38. 생식세포 제1분열에서 상동 염색체의 대합이 일어나는 시기는 ?

㉮ 중기           ㉯ 후기           ㉰ 말기           전기

39. 채종 단계를 나열한 것이다. 본래의 특성에 가장 가까운 종자는 어느 것인가 ?

㉮ 원종           ㉯ 원원종         ㉰ 보급종          기본식물

40. F2의 분리비를 관찰하여서 각각의 유전인자가 독립유전을 하는지의

여부를 검정할 때 쓰이는 방법은 ?

㉮ t검정          ㉯ F검정          χ2검정         ㉱ 조환가의 검정

제3과목 : 재   배   원   론

41. 감자의 추작재배를 위하여 휴면타파에 이용되는 생장조절제는 ?

㉮ 오옥신         지베렐린       ㉰ 사이토카이닌   ㉱ 에틸렌

42. 단위결과를 자연적으로 볼 수 있는 작물로 짝지어진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바나나, 감귤, 부유감 ㉯ 바나나, 복숭아, 배

㉰ 무화과, 사과, 포도 ㉱ 무화과, 밤, 사과

43.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적성병)의 중간 기주식물은 ?

㉮ 전나무         향나무         ㉰ 가문비나무     ㉱ 밤나무

44. 내풍성 작물에 해당하는 것은 ?

고구마         ㉯ 벼             ㉰ 목화           ㉱ 콩

45. 과실의 성숙에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

㉮ 지베렐린(gibberellic acid)       에틸렌(ethylene)

㉰ IAA(indoleacetic acid)           ㉱ ABA(abscisic acid)

46. 작물체가 생장할 때 평면공간으로 상당히 퍼지는 작물에 알맞은 파종 양식은 ?

㉮ 산파           ㉯ 조파           점파           ㉱ 적파

47. 도복의 대책과 거리가 먼 것은 ?

㉮ 도복저항성 품종을 이용한다.      밀식재배를 통하여 입묘수를 늘린다.

㉰ 규산질비료의 시용을 늘린다.      ㉱ 식물생장조절제를 이용한다.

48. 식량과 사료를 서로 균형 있게 생산하는 재배형식은 ?

㉮ 식경(殖耕)  ㉯ 원경(園耕)  ㉰ 소경(疎耕)  포경(圃耕)

49. 벼나 보리의 채종 재배시 이형주를 도태시키는데 가장 적당한 시기는 ?

출수기         ㉯ 감수분열기     ㉰ 유수형성기     ㉱ 유효분얼기

50. 도시 근교에서 수익성이 높은 작물을 선택하여 집약적 관리를 하는 작부방식은 ?

㉮ 이동경작       자유경작       ㉰ 대전법(代田法) ㉱ 순환농법

51. 작물 생육에 필요 불가결한 미량원소가 아닌 것은 ?

㉮ 아연           ㉯ 염소           ㉰ 붕소           규소

52. 오옥신의 재배적 이용이 아닌 것은 ?

㉮ 발근 촉진 ㉯ 가지의 굴곡유도 ㉰ 제초제로 이용 과실의 성숙 지연

53. 작물생육에 적당하지 않은 토양수분상태는 ?

최대용수량     ㉯ 최소용수량     ㉰ 수분당량       ㉱ 포장용수량

54. 작물생육에서 질소기아가 일어나는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

㉮ 유기물 시용을 극히 제한 하였을 때 미숙유기물을 다량 시용 하였을 때

㉰ 완숙유기물을 다량 시용 하였을 때 ㉱ 작물의 질소 흡수가 왕성할 때

55. 증산계수가 큰 작물로 짝지은 것은 ?

㉮ 옥수수, 수수, 기장               ㉯ 사탕무우, 귀리, 감자

호박, 알팔파, 클로버             ㉱ 보리, 완두, 밀

56. 비료의 행동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방사성동위원소는 ?

11C,14C         ㉯ 60CO, 24Na       32P,42K,45Ca     ㉱ 137Cs, 35S

57. 다음 작물 중에서 내습성이 가장 강한 작물은 ?

벼             ㉯ 맥류           ㉰ 콩             ㉱ 당근

58. 수해를 입은 뒤의 사후대책이라 할 수 없는 것은 ?

물이 빠진 즉시 추비해야 한다 ㉯ 철저한 병해충 방제노력이 있어야 한다

㉰ 물이 빠진 즉시 새로운 물을 갈아 대야 한다

㉱ 토양표면의 흙앙금을 헤쳐줌으로서 지중 통기를 좋게 한다

59. 벼 재배시 이화명충의 피해가 큰 지역에서 심어야 할 품종의 특성은 ?

내충성         ㉯ 내병성         ㉰ 조생종         ㉱ 내건성

60. 모든 작물의 정상적인 종자발아에 관여하는공통적외적요아닌 것은 ?

빛             ㉯ 온도           ㉰ 산소           ㉱ 수분

제4과목 : 식  물  보  호  학

61. 우리나라의 밭에서 발생되는 우생잡초 중에 화본과 1년생 잡초는 ?

㉮ 쇠비름         바랭이         ㉰ 참방동사니     ㉱ 바람하늘지기

62. 계면활성제(surfactant)의 작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 습윤성과 확전성 증대             ㉯ 부착성과 고착성 증대

㉰ 유화성 증대                      표면장력 증가

63. 다음 각 해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 진딧물류나 매미충류는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는다.

㉯ 혹명나방의 유충은 벼를 가해한다.

㉰ 온실가루이는 채소작물의 중요한 해충이다.

흰등멸구는 우리 나라에서 월동한다.

64. 농약의 어류독성 및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

㉮ 수중생물의 성장 단계 유기물 함량  ㉰ 수온  ㉱ 제제 형태

65. 작물 병원 중 가장 작은 병원체는 ?

㉮ 진균           ㉯ 세균           ㉰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66. 날개를 복부 뒤로 구부릴 수 없는 곤충목은 ?

잠자리목       ㉯ 매미목         ㉰ 바퀴목         ㉱ 사마귀목

67. 일반적으로 헬리콥터로 공중액제 살포시 살포액의 보급 횟수를 적게하고 살포능력을 높이는 생력적인 것은 ?

미량살포       ㉯ 묽게 희석 살포  ㉰ 다량살포     ㉱ 공중 증량제 살포

68. 병원균의 병원성 유전자에 직접 대응하는 저항성 인자에 의해 나타나는 저항성을 무슨 저항성이라고 하는가 ?

㉮ 단순저항성     ㉯ 중도저항성     진정저항성     ㉱ 부분저항성

69. 병원체의 침입방법 중 자연개구를 통한 침입이 아닌 것은 ?

㉮ 기공           ㉯ 수공           ㉰ 밀선           각피

70. 다음 중에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는 잡초는 ?

㉮ 버뮤다그래스   ㉯ 자주괭이밥     나도겨풀       ㉱ 올미

71. 작물을 각종 재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적절한 것은 ?

㉮ 저항성 품종의 육성               ㉯ 병해충 방제 기구의 개량

㉰ 농약의 개발과 적기 살포          다량의 시비

72. 곤충 혈림프에는 곤충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혈구가 있는데 이들 혈구의 여러 가지 기능 중 지혈, 응고 및 침전작용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 혈구는 ?

낭상혈구       ㉯ 과립혈구       ㉰ 세포질혈구     ㉱ 소구형혈구

73. 메프 유제 20%를 1,000배로 희석해서 10a당 100L를 살포하여 해충을 방제하려고 할 때 소요 약량은 얼마인가 ?

100 mL         ㉯ 90 mL          ㉰ 80 mL          ㉱ 70 mL

7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 위용이란 다 자란 유충의 허물이 그대로 굳어서 번데기의 껍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진딧물의 생활사 중에서 간모란 늦가을에 발생하는 수정란을 낳을 수 있는 성충을 말한다.

㉰ 단위생식 또는 처녀생식이란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것을 말한다.

㉱ 유효적산온도의 법칙은 한 생물이 생육을 완성하는 데에 필요한 총온도는 일정하다는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75. 잡초의 2차 휴면을 일으키는 조건이 아닌 것은 ?

㉮ 탄산가스의 짙은 농도  ㉯ 산소부족  ㉰ 고온   수분흡수장해

76. 식물병의 발생에 주된 요인을 도와 촉진시키는 보조적 원인은 ?

㉮ 주인           유인           ㉰ 요인           ㉱ 원인

77. 매년 중국으로부터 비래해 오며, 해에 따라 대발생하여 벼생육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해충은 ?

㉮ 애멸구         ㉯ 이화명나방     벼멸구         ㉱ 끝동매미충

78. 잡초의 유용성과 관계없는 사항은 ?

㉮ 지면을 덮어서 침식을 방지한다  ㉯ 구황작물로서 이용성이 인정된다

작물과 경합하여 작물이 튼튼하게 자라도록 한다.

㉱ 잡초는 자연보존과 유전자은행 역할을 한다

79. 다음 중 식물 바이러스를 진단하는 방법은 ?

㉮ KOSEF          ㉯ NMR            ELISA          ㉱ NIR

80. 최근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무사마귀병의 설명 중 맞는 내용은 ?

㉮ 자낭균에 의한 병이다. 산성 토양일수록 많이 발생한다.

㉰ 국화과 식물에 주로 발생한다.㉱ 주 전염원은 토양전염보다 공기전염이다.

 

제1과목 :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2003년도산업기사일반검정 제3회<2003년8월10일시행>

1. 다음 채소종자 중 수명이 가장 짧은 것은 ?

㉮ 호박종자        ㉯ 토마토종자       양파종자      ㉱ 무종자

2.농업상으로는 종자이고 식물학상으로는 과실(果實)에해당하는 것은 ?

당근과 시금치종자  ㉯ 고추와 참깨종자     ㉰ 오이와 수박종자   ㉱ 무와 배추종자

3. 종자산업법상의 벌칙 중 가장 중벌(重罰)은 ?

㉮ 보증서를 허위로 발급한 종자관리사

㉯ 종자업을 등록하지 아니하고 종자업을 영위한 자

㉰ 신고하지 아니하고 품종의 종자를 생산 또는 수입하여 판매한 자

보호품종임을 허위로 표시한 자

4. 종자의 순도검사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

㉮ 종자표본의 발아능력                 ㉯ 종자표본의 수분함량

㉰ 종자표본의 병해 정도                고유 특성을 가진 종자비율

5. "국가품종목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 벼, 보리 등 주요 농작물 종자가 등재 대상이다.

㉯ 품종목록 등재품종의 종자생산은 종자업자가 할 수 있다.

㉰ 등재대상작물의 종자는 국가품종목록에 등재하는 경우에 판매보급할 수 있다.

품종목록 등재신청이 있을 경우 농림부장관은 지체없이 등재하여야 하며, 이를 거절할 수 없다.

6. 다음 중 정립이 아닌 것은 ?

㉮ 미숙립                                    ㉯ 주름진 립

㉰ 원래 크기의 1/2이상인 종자 쇄립           이종종자

7. 우리나라에 사과 품종을 출원한 경우에 다음 중 신규성을 갖춘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은 ?

㉮ 품종보호출원일이전에 일본에서 종자가 6년이상 상업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양도된 경우

품종보호출원일이전에 일본에서 종자가 6년이상 상업적인 목적으로 양도되지 않은 경우

㉰ 품종보호출원일이전에 일본에서 종자가 10년이상 상업적인 목적으로 양도된 경우

㉱ 품종보호출원일이전에 일본에서 종자가 10년이상 비상업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양도된 경우

8. 채종재배에서 증식포장의 결정에 고려하여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

㉮ 한 장소에서 전년도와 동일한 작물의 재배를 피한다.

㉯ 작물을 베어 탈곡하기까지 쌓아 놓았던 포장을 피한다.

㉰ 채종할 작물과 잡초의 성숙기가 같아서 함께 수확되는경우는피한다.

도시 근교는 피한다.

9. 다음 중 종자소독 약제로 널리 사용되는 것은 ?

베노람수화제(벤레이트티)            ㉯ 지베렐린수용제(지베렐린)

㉰ 비티수화제(슈리사이드)              ㉱ 캪탄수화제(오소싸이트)

10. 대맥 및 과맥의 포장검사에서 특정병으로 취급하는 것은 ?

㉮ 흰가루병      겉깜부기병     ㉰ 줄기녹병      ㉱ 붉은곰팡이병

11. 자연교잡에 의한 품종의 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채종포에서 봉지씌우기 등을 사용하여 자연교잡을 막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

㉮ 공간격리법    ㉯ 시간격리법      차단격리법     ㉱ 거리격리법

12. 종자의 씨눈(배)은 씨방(자방) 안의 어느 세포와 정(웅)핵이 융합하여 만들어 지는가 ?

난핵세포      ㉯ 극핵세포         ㉰ 조세포        ㉱ 반족세포

13.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여 1대잡종 종자를채종하는작물이아닌것은 ?

㉮ 무              ㉯ 배추           ㉰ 양배추         당근


14. 볍씨 200대(40kg들이) 소집단에서 채취하여야 할1차시료의개수는 ?

㉮ 매 포장에서 1개씩 200개             ㉯ 매 2대마다 1개씩 100개

㉰ 총 50개 이상                       총 30개 이상

15. 종피에 있는 것으로 동물의 배꼽과 같은 역할로 동화산물의 전류의 통로가 되는 것은 ?

제(hilum)㉯자엽(cotyledon) ㉰하배축(hypocotyl) ㉱유근(radicle)

16. 다음 중 종자전염병의 수확 전 방제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 무병종자를 파종한다.               ㉯ 저항성 품종을 선택한다.

온탕처리를 한다.                  ㉱ 윤작을 실시한다.

17. 발아시험에 사용되는 배지의 적정 pH는 얼마인가 ?

㉮ pH 4.0 ~ 6.0    pH 6.0 ~ 7.5   

㉰ pH 7.5 ~ 9.0    ㉱ 특별한 기준이 없음.

18. 품종보호권의 효력이 미치는 것은 ?

보호품종으로부터 기본적으로 유래된 품종

㉯ 영리 외의 목적으로 자가소비를 하기 위한 경우

㉰ 실험 또는 연구를 하기 위한 경우 ㉱ 다른 품종을 육성하기위한경우

19. 다음에 열거한 작물 종자 가운데 종피의 특수기관인 제(臍, hilum)가 종자 뒷면에 있는 것은 ?

콩            ㉯ 배추          ㉰ 상추           ㉱ 쑥갓

20. 종자산업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품종보호요건으로 맞는 것은 ?

㉮ 영업성          ㉯ 진보성        ㉰ 적합성         균일성

제2과목 : 식   물   육   종   학

21. 난괴법 배치에 의하여 분산 분석을 할 때 F 값이 1보다 적을때는 ?

유의성이 없다.㉯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됨으로 L.S.D 검정을 한다.

㉰ 유의성은 인정되나 신뢰성이 매우 낮다.㉱ 1% 의 유의성이인정된다.

22. 배추과 작물과 같이 타가수정을 원칙으로 하는 충매화의 경우 채종시 자연교잡에 의한 품종의 퇴화를 방지하기 위한 격리재배의 실용적인 안전거리는 ?

㉮ 100 m 이상   1 km 정도 ㉰ 5 - 10 km 정도   ㉱ 10 km 이상


23. 여교잡법에서 특정 형질이 우성일 때 목적하는 형질을 가진 개체 선발은 언제하는가 ?

여교잡한 다음대 표현형에서 한다.㉯ 여교잡한 반복친에서 한다.

㉰ 여교잡한 후 3회 자식을 시킨 후대에서 한다.

㉱ 우량품종의 양친에 재차 여교잡한 후에 한다.

24. 다음 ( )안에 알맞은 용어는 ?

"동일한 염색체 위에 자리잡고 있는 유전자군(遺傳子群)을 (   )이라 한다."

㉮ 중복       ㉯ 배수성         연관군          ㉱ 다면발현

25. 과수 육종에 많이 이용되는 아조변이는 다음 중 어떤 변이에 속하는가 ?

㉮ 방황변이           체세포 돌연변이    

㉰ 키메라 현상         ㉱ 색소체 돌연변이

26. 무성생식에 해당되지 않는 생식법은 ?

㉮ 위수정         ㉯ 단위생식       ㉰ 영양생식       자가수정

27. 멘델이 완두콩의 교배 실험에서 유전법칙을 성공적으로 정립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요인은 ?

㉮ 실험을 정밀하게 실시하였기 때문이다

잡종개체를 숫자로서 구별 처리했기 때문이다

㉰ 여러차례 반복해서 실험하였기 때문이다

㉱ 통계분석 능력이 우수했기 때문이다

28. 작물의 근계교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가장 극단적인 근친교배는 형매(兄妹)교배이다.

㉯ 관계 유전자가 많을수록 호모(homo)정도가 빨라진다.

근교약세 현상은 혈연관계가 가까울수록 심하다.

㉱ 근교약세 현상은 근친교배가 거듭 될수록 정도가 끝까지 심해진다.

29. 후대 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이면 교잡을 시켜야 검정이 가능하다.

유전성 변이와 환경변이를 구분하는 검정이다.

㉰ 일반조합 능력 검정을 위해서만 적용된다.

㉱ 콜히친 처리를 하여야 검정이 가능하다.

30. 자가수분이 가장 용이하게 되는 경우는 ?

㉮ 장벽수정인 경우    ㉯ 자웅예이장인 경우  

㉰ 자가불화합성인 경우 자웅동숙인 경우

31. 콜히친 처리를 하면 왜 염색체가 배가 되는가 ?

㉮ 염색체가 2개로 종단되기 때문이다.㉯ 세포판이 생기기 때문이다.

방추사와 세포막의 형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 핵분열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32. 다음 중 양파의 유전적 불임성에 속하는 것은 ?

㉮ 자가 불화합성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성

㉰ 세포질적 웅성불임성            ㉱ 이형예 불화합성

33. 조합능력의 검정법 중 특정조합능력만을 검정 할 수 있는 방법은 ?

단교잡         ㉯ 톱교잡        ㉰ 다교잡        ㉱ 이면교잡

34. 야생형이나 사용치 않는 재래종을 보존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무엇인가 ?

㉮ 품종의 변천사 교육                 ㉯ 식물분류상의 이용

장래 육종 자료로 이용              ㉱ 자연상태의 돌연변이 연구

35. F1의 유전자형이 AaBb일 때 형성되는 배우자의 종류는 ?

㉮ 2개           4개           ㉰ 6개              ㉱ 8개

36. 감자 종자의 퇴화 원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

병리적 퇴화                          ㉯ 자연교잡에 의한 퇴화

㉰ 돌연변이에 의한 퇴화                 ㉱ 근교약세에 의한 퇴화

37. 수분과다에 의한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은 ?

㉮ 내건성       ㉯ 내한성           내습성           ㉱ 내비성

38. 다음 중 3염색체(tetrasomic)는 ?

2n+1          ㉯ 2n-1           ㉰ 2n+2            ㉱ 2n-2

39. 양적형질을 지배하는 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

㉮ 동의유전자(polymeric gene)         ㉯ 미동유전자(minor gene)

세포질유전자(plasma gene)          ㉱ 환경(environment)

40. 다음 중 돌연변이는 ?

㉮ 교잡에 의한 유전자의 조환           3배체 수박의 작성

㉰ 야생 약초의 작물로서 재배          ㉱ 춘화처리에 의한 개화촉진

제3과목 : 재    배    원    론

41. 다음 작물 중 휴립 휴파법을 이용하여 재배하는작물은어느것인가 ?

㉮ 보리            고구마          ㉰ 감자           ㉱ 논벼

42. 도복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

밀식재배   ㉯ 내도복성 품종 선택  ㉰ 배토 후 답압   ㉱ 균형시비

43. 감온성과 감광성이 높은 벼품종을 저위도지역으로 옮길 경우 예상되는 현상은 ?

㉮ 아무런 영향이 없다.㉯ 출수가 너무 지연된다.

㉰ 출수가 조금 지연된다. 출수가 촉진된다.

44. 다음의 생리작용 중 광과 관련이 없는 것은 ?

㉮ 굴광현상       ㉯ 광합성        전류           ㉱ 착색

45. 작물이 생육 도중에 각종 환경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나타내는 반응과 거리가 먼 것은 ?

㉮ 토양이 과습하면 흡수작용과 광합성 등이 저하된다.

㉯ 특정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어 체내물질대사에 변화가 일어난다.

㉰ 병원균에 감염되면 2차대사물질이 많이 생성되는 것으로알려져있다.

저온 스트레스는 작물의 양분 흡수를 조장한다.

46. 오옥신의 재배적 이용으로 활용되지 않는 항목은 ?

㉮ 착과증대   ㉯ 접목의 활착증진    ㉰ 개화촉진     발근억제

47. 연작 장해가 가장 적은 작물은 ?

㉮ 인삼            ㉯ 쑥갓          ㉰ 수박           옥수수

48. 식물 지리적 미분법(Differential phyto-geographic method)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

Morgan에 의해서 제창되었다.

㉯ 전세계를 통하여 농작물과 그들의 근연식물을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 주요작물의 재배기원 중심지를 8개 지역으로 나누었다.

㉱ 다양성에 주목을 하였다.

49. 작물의 개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생육의 일정한 시기에 저온 처리를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온도처리     ㉯ 광주율       ㉰ 일장효과        춘화처리

50. 다음 작물 중 C4 식물에 해당되는 것은 ?

㉮ 벼, 보리, 오차드그라스              ㉯ 벼, 피, 오차드그라스

㉰ 보리, 옥수수, 해바라기               옥수수, 사탕수수, 피

51. 구미의 발달된 농업지대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식량과 사료를 균형있게 생산하는 유축농업은 다음 재배 형식 중 어느 것인가 ?

㉮ 곡경 (穀耕)        ㉯ 식경 (殖耕)         ㉰ 원경 (園耕)         포경 (圃耕)

52. 토양구조에서 작물생육에 유리한 것은 입단구조이다. 다음 중 입단구조를 파괴시키는 조건은 ?

㉮ 유기물과 석회의 시용                      ㉯ 콩과작물의 재배

입단의 수축과 팽창                        ㉱ 토양개량제의 시용

53. 포도의 무핵과 생산에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되고있는화학 물질은 ?

㉮ NAA       ㉯ 2,4-D          ㉰ IBA        Gibberellin

54. 플러그 육묘의 장점이 아닌 것은 ?

㉮ 육묘의 노력절감   ㉯ 종자절약   추대조장  ㉱ 토지이용도 증대

55. 괴경으로 번식하는 작물은 ?

㉮ 생강            ㉯ 마늘           감자          ㉱ 고구마

56. 다음 중 가장 낮은 농도에서 피해를 일으키는 대기오염 물질은 ?

㉮ SO2           HF             ㉰ PAN               ㉱ O3

57. 과실의 성숙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식물호르몬은 ?

㉮ 오옥신(Auxin)                  ㉯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 사이토카이닌(Cytokinin)                   에틸렌(Ethylene)

58. 작물의 다양성에 대해 옳게 설명한 것은 ?

㉮ 작물의 분화 과정을 통하여 다양성이 감소한다.

㉯ 작물의 기원중심지에는 다양성이 적다.

㉰ 환경적 변이가 다양성의 원인이 된다.

새로운 품종 개발을 위한 재료로 이용된다.

59. 비료의 행동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방사성동위원소는 ?

11C,14C           ㉯ 60CO, 24Na          

32P,42K,45Ca          ㉱ 137Cs, 35S

60. 답전윤환의 작부체계에서 논과 밭의 기간은 각각 어느 정도가 좋은가 ?

2 - 3 년       ㉯ 3 - 4 년       ㉰ 4 - 5 년      ㉱ 5 - 6 년

제4과목 : 식   물   보   호   학

61. 다음은 천적과 해충을 연결한 것이다. 틀린 것은 ?

㉮ 칠레이리응애 - 점박이응애                 ㉯ 무당벌레 - 진딧물

㉰ 꽃등애 - 진딧물                         파리매 - 끝동매미충

62. 밭에서 주로 많이 발생하는 잡초는 ?

㉮ 올방개             명아주        ㉰ 사마귀풀       ㉱ 가래

63. 소화중독제는 해충의 어느 부위에서 주로 흡수되는가 ?

㉮ 표피            ㉯ 전장            중장            ㉱ 후장

64.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 각종 바이러스병 매개를 한다.          ㉯ 월동란에서 부화한 유충은 간모이다.

㉰ 간모는 태생으로 단위 생식한다.         1년에 5회 발생한다.

65. 다음 병 중 세균병에 해당하는 것은 ?

벼흰잎마름병  ㉯ 배추 무사마귀병 

㉰ 오이류덩굴쪼김병  ㉱ 보리겉깜부기병

66. 곤충의 행동 중 개미가 위협을 받을시 분산, 공격적 행동을 유도하는데 다른 개체에 알리는 통신 물질은 ?

페로몬(pheromone)물질                     ㉯ 시각에 의한 통신

㉰ 청각 통신                                 ㉱ 접촉에 의한 통신

67. 다음 중에서 일생 동안을 지하에서 생활하는 곤충에 속하지 않는 것은 ?

반날개류       ㉯ 낫발이류        ㉰ 좀붙이류      ㉱ 땅강아지

68. 다음 중 잡초로 인한 피해와 거리가 먼 것은 ?

㉮ 농작업시간을 지연시키고 수량 감소를 초래한다.

㉯ 병해충의 매개원이 된다.

조류나 어패류의 서식지가 된다.

㉱ 광․ 수분 및 영양 등의 작물과의 경합으로 작물생육에 지장을 초래한다.

69. 농약의 구비조건이 잘못된 것은 ?

㉮ 효력이 정확할 것                    ㉯ 물리적 성질이 양호할 것

다른 약제와 혼용 범위가 좁을 것      ㉱ 등록되어 있는 농약일 것

70. 작물의 피해 원인에는 생물적 요소와 비생물적 요인이 있다. 다음 중 비생물적 요인은 ?

㉮ 배추 무름병에 의한 피해             ㉯ 응애에 의한 오이피해

철의 용탈에 의한 추락현상           ㉱ 벼 여뀌 잡초에 의한 피해

71. 냉수온탕침법에 의하여 종자소독이 불가능한 병원체는 ?

㉮ 점균            바이러스      ㉰ 세균             ㉱ 진균

72. 다음 해충의 월동처와 월동태가 모두 맞는 것은 ?

담배나방의 월동처는 땅속이고 월동태는 번데기이다.

㉯ 복숭아심식나방의 월동처는 나무껍질 속이고 월동태는 유충이다.

㉰ 애멸구의 월동처는 제방의 잡초, 보리밭 등지이고,월동태는성충이다

㉱ 벼잎벌레의 월동처는 논 부근의 숲이나 잡초사이이고월동태는알이다.

73. 최초로 합성된 페녹시(phenoxy)계 제초제는 ?

2,4-D  ㉯ 부타클로르(butachlor)㉰ 알라클로르(alachlor)㉱ 시마진(simazine)

74. 유효성분을 가스로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데 쓰이는 약제는 ?

㉮ 접촉제     ㉯ 침투성 살충제       훈증제          ㉱ 훈연제 75. 액제를 물에 희석하여 분무기로 살포할 때 물의 양을 적게하고 진한 약액을 미립자로 해서 살포하는 방법은 ?

㉮ 분무법         ㉯ 살분법         미스트법      ㉱ 미량살포법

76. 토마토 배꼽썩음병은 식물 영양원 중 어떤 원소의 결핍으로 나타나는 병인가 ?

㉮Mg                 Ca              ㉰ K               ㉱ Mn

77. 거름기가 떨어진 벼에 많이 발생하는 병해는 ?

㉮ 도열병  ㉯ 잎집무늬마름병 (문고병) 깨씨무늬병 ㉱ 이삭누룩병

78. 병원체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주의 능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저항성         ㉯ 감수성        ㉰ 면역성            ㉱ 내병성

79. 지표식물이란 어떤 병에 감수성인 식물을 심어서 그 병원균의 존재유무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식물이다. 어떤 진단법에 속하는가 ?

㉮ 병징에 의한 진단법                        생물학적 진단법

㉰ 배양에 의한 진단법                        ㉱ 이화학적 진단법

80. 다음 중 다년생 잡초는 ?

㉮ 둑새풀          ㉯ 여뀌      ㉰ 생이가래       개구리밥

 

제1과목 :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2004년도 산업기사일반검정 제1회 <2004년3월7일시행>

1. 다음 중 종자 춘화형 채소는 ?

무와 배추  ㉯ 당근과 우엉 ㉰ 양배추와 꽃양배추 ㉱ 양파와 셀러리

2. 다음 채소 중 대표적인 호암성(암발아성) 발아종자에 속하는 것은 ?

㉮ 우엉    ㉯ 상추       호박      ㉱ 담배

3. 쑥갓 종자의 휴면 타파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어떤것인가 ?

티오 요소처리      ㉯ 수침처리    ㉰ 저온처리    ㉱ 광처리

4. 다음 중 발아시 종자 내 수분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

㉮ 옥수수     ㉯ 벼         완두      ㉱ 사탕무

5. 종자생산 포장에 대한 검사시 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

생산포장의 비옥상태    ㉯ 생산포장 주변의 동일작물과의 격리거리

㉰ 생산포장의 이형주의 주수   ㉱ 생산포장내의 이병주수

6. 원종포 선정시 타품종과의 격리거리에서 고려하지 않아도되는것은 ?

교통여건 ㉯ 작물의 종류 ㉰ 장해물 유무 ㉱ 원종포의 면적

7. 다음 중 품종보호권의 침해 행위가 아닌 것은 ?

다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품종보호권자의 허락없이 보호품종의 종자를 증식하는 행위

㉯ 수출하기 위하여 품종보호권자의 허락없이 보호품종의 종자를 증식하는 행위

㉰ 타인의 보호품종의 품종명칭과 동일 또는 유사한 품종명칭을 당해 보호품종이 속하는 작물의 속 또는 종의 품종에 사용하는 행위

㉱ 품종보호권자의 허락없이 증식을 목적으로 보호품종의 종자, 그 수확물 및 그 수확물로부터 직접 제조된 산물을 수출하는 행위

8. 화곡류 종자의 수확 적기는 ?

㉮ 유숙기     ㉯ 고숙기      완숙기      ㉱ 호숙기

9. 다음 중 500만원이하의 과태료 처분대상에해당하는위반행위인것은 ?

㉮ 종자보증서를 허위로 발급한 종자관리사

㉯ 수입적응성시험을 받지 아니하고 외국 종자를 수입한 자

유통종자에 대한 품질표시를 하지 아니하고 종자를 판매한 자

㉱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자

10. 공중습도가 높을 때 특히 수정이 잘 안되는 작물은 ?

㉮ 배추      ㉯ 고추       양파       ㉱ 당근

11. 양성화의 인공배양 순서 및 방법으로 잘못 설명한 것은 ?

개화 당일 봉오리 상태의 모계를 제웅하고, 오염방지를 위해 부계의 수꽃 또는 양성화를 꽃이피기 전 꽃봉오리 상태로 봉지를 씌운다.

㉯ 개화 당일 부계의 수꽃을, 제웅한 모계 꽃의 주두에 발라주는 수분작업을 한다.

㉰ 수분 후에 봉지를 씌우고 라벨을 붙여둔다.

㉱ 수분 수일 후에 봉지를 벗긴다.

12. 다음 중 종자의 휴면타파 방법이 아닌 것은 ?

배 부위에 기계적 충격  ㉯ 저온 처리  ㉰ 예열 ㉱ KNO3 처리

13. 종자산업법 규정에 의하여 우선권을 주장한 자는 최초의 품종보호출원일부터

몇 년까지 출원품종에 대한 심사의 연기를 농림부장관에게 요청할 수 있는가 ?

㉮ 1년     ㉯ 2년      3년    ㉱ 4년

14. 다음 중 종자의 수명과 가장 관계가 깊은 환경 요인은 ?

㉮ 채종포의 시비량,종자의 침출액 감소 여부

저장고의 온도, 저장고의 상대습도

㉰ 종자의 소독 여부, 채종포의 위치 

㉱ 유리지방산의 감소 여부 , 변색의 정도

15. 항온건조기법에 의하여 보리종자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수분측정관과 덮개의 무게가 10g 이고, 건조전 총무게가 15g 이고, 건조후 총무게가 14g 일 때 종자수분함량은 얼마인가 ?

㉮ 10.0%      ㉯ 15.0%      20.0%       ㉱ 25.0%

16. 품종보호출원서의 기재 사항이 아닌 것은 ?

㉮ 품종보호출원인의 성명 및 주소

㉯ 품종보호출원인의 대리인이 있을 경우에는 그 대리인의 성명 및 주소 또는 영업소 소재지

품종보호출원인의 영농실적       ㉱ 품종의 사진 및 시료

17. 품종성능의 심사를 위한 기준항이 아닌 것은 ?

㉮ 심사의 종류          재배 시험 기간 중의 기상

㉰ 재배 시험 지역       ㉱ 표준 품종

18. 품종보호의 요건이 아닌 것은 ?

㉮ 신규성    ㉯ 구별성    다수성    ㉱ 균일성

19. 현행 종자산업법상의 국가품종목록 등재 대상작물이 아닌 것은 ?

㉮ 벼        밀         ㉰ 보리        ㉱ 콩

20. 종자보증에 관한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

㉮ 국가보증과 자체보증은 종자검사기준이 다르다.

㉯ 자체보증종자란 종자업자가 자체적으로 설정한 종자검사기준에 따라 보증한 종자를 말한다.

농협중앙회장이 벼종자를 생산․판매할 때에는국가보증을받아야한다.

㉱ 종자업자가 배추 종자를 생산․판매하고자 할 때는 자체보증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제2과목 : 식  물  육  종  학

21, 백합, 국화와 같은 작물을 육종할 때 새품종 육성기간을 앞당길수 있는 육종법은 ?

㉮ 순계분리법    ㉯ 계통분리법     영양계분리법    ㉱ 혼합육종법

22. 농작물 신품종의 환경적응성을 검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에서 가장 알맞은 방법은 ?

㉮ 신품종의 배수성을 조사한다.

신품종의 생산성을 여러 지역에서 조사한다.

㉰ 신품종을 이용한 유전분석을 실시한다.

㉱ 신품종의 생산성을 가장 적당한 환경에서 조사한다.

23. 이질배수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자연계엔 존재하지 않는다.㉯ 교잡종자를 얻기 어렵다.

㉰ 후대 유전현상이 복잡하다.㉱ 종속간 교잡에서 새로운 유전자형을 얻을 수 있다.

24. 암.수포기가 따로 있는 자웅이주 식물은 ?

㉮ 벼, 보리    ㉯ 오이, 호박     시금치, 삼    ㉱ 옥수수, 콩

25. 반수체 식물의 생식능력을 임실율로 표시하면 어떻게 되겠는가 ?

0%       ㉯ 25%      ㉰ 50%      ㉱ 100%

26. 2n = 20인 작물의 연관군은 몇 종류인가 ?

㉮ 5종류    10종류    ㉰ 20종류    ㉱ 40종류

27. 자가불화합성인 농작물의 자식(自殖) 종자를 얻기 위하여 흔히 쓰이는 방법은 ?

㉮ 품종간 교잡  꽃봉오리 수분  ㉰ 타가 수분  ㉱ 속간 교잡

28. 미동유전자의 영향을 받으며 병원균의 레이스에 따라 저항성 정도가 거의 변하지 않는 저항성은 ?

㉮ 위저항성  ㉯ 면역저항성   포장저항성  ㉱ 고저항성

29. 우량품종의 3대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

㉮ 영속성   ㉯ 우수성    ㉰ 균등성   감온성

30. 배추, 스위트 콘과 같이 품질을 중요시 하는 작물에서 우량조합을 가장 쉽게 선발할 수 있는 육종법은 ?

단교잡    ㉯ 복교잡    ㉰ 3계교잡  ㉱ 합성품종

31. 품종퇴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 ?

잡종강세 ㉯ 자연교잡  ㉰ 기계적혼입  ㉱ 생리적 영향

32. 육종에서 체세포 돌연변이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작물은 ?

㉮ 화본과 작물   ㉯ 두과작물   영년생 과수류 ㉱ 일년생 화초류

33. 속씨식물 종자의 배유가 갖는 염색체는 ?

모본의 2n과 부본의  n       ㉯ 부본의 2n과 모본의 n

㉰ 모본의 2n과 부본의 2n       ㉱ 모본의  n과 부본의 n

34. 어떤 품종의 과실 무게 100개를 측정한 바 표본의 표준편차가 20g였다. 표준오차는 얼마인가 ?

㉮ 0.2g  2.0g    ㉰ 20.0g   ㉱ 200.0g

35. 배추종자를 채종할 때 채종량을 고려치 않고 순수성만을 고려하여 순도 높은 종자를 채종하는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은 ?

㉮ 춘파채종 ㉯ 이식채종(유묘)㉰ 직파채종 결구모본 채종

36. 품종수와 반복수가 같을 때 포장을 모두 품종수와 같은 수의 시험구로 분할하여 배열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

㉮ 분할구배치법㉯ 완전 임의배치법㉰ 난괴법 라틴방격법

37. 연관 유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독립유전의 경우보다 교잡변이의 출현율이 높다.

교잡변이가 생기지 않을 경우도 있다.

㉰ 서로 다른 염색체상의 유전자들간의 관계이다.

㉱ 연관군의 종류는 생물마다 2n개이다.

38. 유전 상관의 원인이 아닌 것은 ?

㉮ 동일 유전자의 다면발현 ㉯ 상이한 유전자 간의 연관

㉰ 두 형질에 대한 평행적 도태 환경 조건의 변동에 의한 상관

39. 육종기술의 체계화 3단계 순서가 올바른 것은 ?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변이의 탐구와 창성→ 신종의 증식과 보급

㉯ 변이의 탐구와 창성 → 신종의 증식과 보급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신종의 증식과 보급 → 변이의 탐구와 창성

변이의 탐구와 창성 → 변이의 선택과 고정 → 신종의 증식과 보급

40. 다음 중 주로 자가수정 식물에 적용하는 육종방법으로 근교약세를 나타내지 않는 타가수정 식물에도 적용될 수 있는 육종 방법은 ?

제3과목 : 재   배   원   론

㉮ 계통 분리법 순계 분리법 ㉰ 도입 육종법 ㉱ 단위생식 이용법

41. 재배식물기원의 저자는?

㉮ Vavilov   De Candole  ㉰ Liebig   ㉱ Went

42. 작물 종자저장 중에 수명이 끝나서 발아력이 상실하게 되는 주된 원인은  ?

㉮ 저장 양분의 소진     원형질 단백의 응고

㉰ 발아 억제물질의 생성 ㉱ 세포막의 파괴

43. 식물체에서 내열성이 가장 강한 곳은 ?

주피     ㉯ 눈       ㉰ 유엽      ㉱ 중심주

44. 하우스재배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

㉮ 일조 부족  ㉯ 과습     염류집적   ㉱ 잡초 방제

45. 도복을 경감시키는 조건 중 틀린 것은 ?

㉮ 토입과 배토 밀식 ㉰ 이식재배  ㉱ 칼륨과 석회의 시용

46. 산성토양에 강한 내산성 작물은 ?

감자    ㉯ 사탕무우  ㉰ 부추    ㉱ 콩

47. 습답 토양에서 가장 잘 생육할 수 있는 작물은 ?

골풀     ㉯ 옥수수    ㉰ 토란      ㉱ 유채

48. 세계 3대 작물로 구성된 것은 ?

밀, 옥수수, 벼     ㉯ 밀, 감자, 보리     

㉰ 보리, 고구마, 벼    ㉱ 감자, 고구마, 벼

49. 식물 화성의 유인에 관련된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

식물체의 수분함량  ㉯ C-N 율 ㉰ 식물호르몬 ㉱ 광조건

50. 생력화 재배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

㉮ 노력비 절감 ㉯ 생산비 절감 미질 향상 ㉱ 기계화 재배

51. 벼의 키다리병에서 유래한 생장조절 물질은 ?

㉮ 옥신  지베렐린 ㉰ 사이토카이닌 ㉱ 에틸렌

52. 단위면적당 광합성능력을 표시하는 것은 ?

㉮ 재식밀도 x 수광태세 x 평균동화능력

㉯ 재식밀도 x 엽면적율 x 순동화율

총엽면적 x 수광능률 x 평균동화능력

㉱ 엽면적율 x 수광태세 x 순동화율

53. 작물의 분류가 잘못된 것은 ?

㉮ 전분작물 - 옥수수, 고구마, 감자

㉯ 식용작물 - 벼, 보리, 옥수수, 감자, 강남콩

㉰ 사료작물 - 옥수수, 알팔파, 화이트클로버

원예작물 - 포도, 가지, 차, 담배

54. 고위도지대에서 벼 재배에 적합한 품종의 기상생태형은 ?

㉮ 감광성이 크고 감온성이 작은 품종 감광성이 적고 감온성이큰품종

㉰ 감광성과 감온성이 큰 품종  ㉱ 감광성과 감온성이 적은 품종

55. 월동작물의 동해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 저온 경화가 된 것은 내동성이 강하다.

㉯ 적설(눈)의 깊이가 깊을수록 지온이 높아진다.

당분의 함량이 높을수록 내동성이 약해진다.

㉱ 세포의 수분함량이 높으면 내동성이 약해진다.

56. 식물의 생장 과정을 생장과 분화의 두 측면으로 보는 지표는 ?

㉮ C - N율  ㉯ T - R율  G - D균형   ㉱ DD 50

57. 다음 중 발아, 생장 촉진 물질과 그 효력이 잘못 연결된 것은 ?

㉮ 지베렐린 - 휴면 타파, 발아 촉진

㉯ 사이토카이닌 - 정아억제, 측아 생장 촉진

㉰ 질산염 - 화본과 목초 및 벼 종자 발아 촉진

에틸렌 - 휴면 유도, 생장 촉진

58. 기상생태형으로 분류할 때 우리나라 주요 작물의 조생종은 어디에 속하는가 ?

blt형   ㉯ bLt형    ㉰ BLt형    ㉱ blT형

59. 벼 이앙재배시 육묘의 필요성으로 해당 되지 않는 것은 ?

㉮ 토지이용도의 증대  ㉯ 재해 방지 추대 방지 ㉱ 종자 절약

60. 토양 입단의 파괴의 원인이 되는 것은 ?

㉮ 유기물의 시용 ㉯ 콩과작물의 재배 나트륨이온의 첨가 ㉱ 석회의 시용

제4과목 : 식  물  보  호  학

61. 다음 중에서 파리목의 번데기형은 ?

㉮ 피용     ㉯ 나용      ㉰ 대용       위용

62. 다음 중 비선택성 제초제는 ?

글라신 액제  ㉯ 알라 입제 ㉰ 엠오 유제 ㉱ 옥사존 유제(론스타)

63. 흡즙하고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

㉮ 이화명나방  ㉯ 조명나방   ㉰ 벼밤나방    애멸구

64. 식물병원균의 병원성과 대치되는 기주식물의 병에 견디는 성질을 일컫는 용어는 ?

저항성  ㉯ 면역성  ㉰ 기주특이성  ㉱ 내한성

65. 아래의 병해 표본에서 병원 세균을 분리하여 그람염색을 하였더니

양성으로 나타났다면 이 병해표본은 ?

㉮ 콩 불마름병㉯ 배추 무름병 감자 둘레썩음병㉱ 장미 근두암종병

66.다음 중 원제가 유기용매에 녹기 어려운 경우 주제를 카올린,벤토나이트 등의 분말과 혼합, 분쇄하고 계면활성제를 적량혼합하여만든것은?

㉮ 수용제     ㉯ 유제          수화제     ㉱ 분제

67. 작물의 생육을 우세하도록 환경을 유도해주는 동시에 잡초의생육을

재배적으로 억제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도록 관리해주는 방법은 ?

㉮ 물리적 방제법                 생태적 방제법

㉰ 생물적 방제법                 ㉱ 화학적 방제법

68. 다음 중 농약의 구비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

㉮ 농작물에 대한 약해가 없어야 한다.

약제 적용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어야 한다.

㉰ 농생태계에 부작용이 작아야 한다.㉱ 인축에 대한독성이낮아야한다.

69. 다음 중 병원균의 병원성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병원균의 밀도㉯ 병원균의 독소 ㉰ 병원균의 효소  ㉱ 레이스(race)

70. 우리나라의 논에서 발생하는 주요 잡초가 아닌 것은 ?

㉮ 방동사니  ㉯ 물달개비    ㉰ 피     쇠비름

71. 다음 중 식물의 줄기를 파고 들어가는 곤충은 ?

㉮ 벼멸구    ㉯ 벼물바구미    사과하늘소    ㉱ 오이잎벌레

72. 벼에 발생하는 병 중에서 진균에 의한 병이 아닌 것은 ?

㉮ 벼 도열병 ㉯ 벼 키다리병 벼 줄무늬잎마름병㉱벼 잎집무늬마름병

73. 알 - 약충 - 성충의 3시기로 변화하는 곤충 중에 약충과 성충의 모양이 비슷한 변태는 ?

㉮ 완전변태 ㉯ 반변태 점변태  ㉱ 무변태

74, 해충의 약제 방제 효과는 1령충 때에 크게 나타난다. 1령충이란 어느 기간을 말하는가 ?

㉮ 산란 이후 부화직전까지     부화 직후부터 1회 탈피 전까지

㉰ 1회 탈피 후 2회 탈피 전까지   ㉱ 용화 이후 우화 직전까지

75. 우리나라 씨감자 생산은 대관령과 같은 고랭지에서 생산하게 되는데 이는 씨감자를 주로 어떤 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인가 ?

㉮ 곰팡이병 ㉯ 세균병 ㉰ 파이토프라스마병  바이러스병

76. 신경기관에 작용하여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약제는 ?

유기인제 ㉯ 비소제    ㉰ 청산가스   ㉱ 데리스제

77. 비중이 1.0 이고, 50% 유제인 A약제를 벼 50kg에 10 ppm이 되도록

처리하고자 할 때의 소요 약량은 ?

㉮ 0.5cc    1.0cc    ㉰ 1.6cc  ㉱ 3.2cc

78. 제초제에 의한 잡초의 약해 증상이 아닌 것은 ?

㉮ 잎과 줄기의 생장 억제     ㉯ 잎의 황화와 비틀림

㉰ 잎의 백화현상과 괴사      잎의 큐티클층 형성 촉진

79. 곤충의 알라타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로서 곤충으로 하여금

유충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것은 ?

유약호르몬 ㉯ 탈피호르몬 ㉰ 신경분비호르몬㉱ 알라타체자극호르몬

80. 옥수수 깜부기병의 까만 가루는 ?

후막포자  ㉯ 자낭포자 ㉰ 분생포자 ㉱ 소생자

 

 

 

제1과목 :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2004년도 산업기사 일반검정 제3회 <2004년 8월 8일 시행>

1. 채종포에서 종자의 과도한 밀파(密播)를 피하는 이유는 ?

㉮ 파종량이 많아져 비용이 더 들므로㉯ 비료, 농약의 소모가 많으므로

㉰ 과번무(過繁茂)되어 포장관리가 어려워지므로

종실의 크기가 작아져 품질이 떨어지므로

2. 전분종자에서 전분립이 주로 저장되어 있는 곳은 ?

㉮ 배           배유        ㉰ 배축        ㉱ 떡잎

3. 옥수수 F1 품종의 종자를 채종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것은 ?

모본으로 이용하는 계통의 수꽃은 피기전에 제거한다.

㉯ 부본으로 이용하는 계통의 암꽃은 피기전에 제거한다.

㉰ 부본으로 이용하는 계통의 수꽃은 꽃가루가 비산하기 전에 제거한다.

㉱ 종자의 생산은 부본의 암꽃에서 얻어진 종자도 모본의 암꽃에서 얻어진 종자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4. 인공수분을 위한 개화기 조절 방법이 되지 못하는 것은 ?

㉮ 파종기 조절 ㉯ 적심에 의한 조절 붕소 시용 ㉱ 식물생장조절제 처리

5. 종자생산을 위한 채종재배에서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

㉮ 유전적으로 순수하게 생산한 종자로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 생리적으로 충실하고 종자 활력이 유지된 종자로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 병해충에 오염되지 않은 종자로서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다수확 재배법으로 생산한 종자로 경제성이 높아야 한다.

6. 종자 포장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방습질(防濕質)류의 가장 큰 장점은 ?

㉮ 무게가 가벼워진다.          종자 중량에 변화가 적다.

㉰ 포장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 재고목록을 비치하지 않아도 된다.

7. 국가보증의 정의로 맞는 것은 ?

㉮ 종자업자가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 종자관리사가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농림부장관이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 생산자단체가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8. 번식 수단으로 식물학상의 종자를 이용하는 것은 ?

㉮ 벼  ㉯ 쌀보리       ㉱ 옥수수

9. 종자관리사의 자격정지 1년에 해당하는 위반사항은 어느 것인가 ?

㉮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형의 선고를 받은 경우

㉯ 종자관리사 자격과 관련하여 2회 이상 이중취업을 한 경우

㉰ 자격정지 처분기간 종료 후 3년 이내에 자격정지 처분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경우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타인에게 막대한 손실을 가한 경우

10. 종자의 저장방법 중에서 용기내에 질소가스를 충전하여 판매용

종자의 저장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

밀봉저장   ㉯ 층적저장   ㉰ 건조저장   ㉱ 냉건저장

11. 종자 순도 분석시 분류 항목이 아닌 것은 ?

㉮ 정립 (Pure seed)  ㉯ 이종종자 (Other seed)

쇄립 (Broken seed) ㉱ 이물 (Inert matter)

12. 규정에 의한 품종 명칭의 등록을 받을 수 있는 경우는 ?

㉮ 숫자 또는 기호로만 표시한 품종 명칭   

㉯ 공공질서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는 품종 명칭

㉰ 수확량만으로 표시한 품종 명칭

타인의 승낙을 득하여 그 사람의 성명을 이용한 품종 명칭


13. 식물의 화아유도에 영향을 주며 일장효과와 광선의 질에 의하여 결정되는 물질은 ?

㉮ 말레익 하이드라짓드(Maleic hydrazide (MH))  ㉯ 지베렐린 (GA3)

㉰ 사이토카이닌(Cytokinin)   파이토크롬(Phytochrome)

14. 종자의 발아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 효소의 활성화 → 과피 파열 → 수분 흡수 → 유묘출아 → 배의 생장개시

㉯ 배의 생장개시 → 수분 흡수 → 효소의 활성화 → 유묘 출아 → 과피 파열

수분 흡수 → 효소의 활성화 → 배의 생장개시 → 과피 파열 → 유묘 출아

㉱ 유묘 출아 → 배의 생장개시 → 효소의 활성화 → 수분 흡수 → 과피 파열

15. 국제적인 인정을 받기 위하여 발아검사를 할 때의 최소 시료는 어느 정도여야 하는가 ?

㉮ 50립씩 2반복 ㉯ 50립씩 4반복㉰ 100립씩 2반복 100립씩 4반복

16. 종자 채종 기술에서 기회적 부동(機會的浮動, random drift)이란 무엇인가 ?

㉮ 채종 조건에 따라 그 해에 발현되는 표현형 비율

㉯ 선발 과정에서 특수한 형질만을 선발하여 채종하는 경우

㉰ 개화기에 타가수정에 의해서 잡종 발현 비율이 달라지는 현상

특정 유전자형만 채종되어 다음 세대의 유전자형 비율이 달라지는 현상

17. 종자 발아력 검사방법 가운데 발아력을 가장 빨리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은 ?

㉮ X-선 검사법        ㉯ 효소활성 측정법

㉰ 전기전도율 검사법   테트라졸리움(TZ) 검사법

18. 정선할 벼 종자 8000 kg 시료종자를 접수하여 수분함량이 23 %인 종자를

12 %로 건조시킬 때의 종자 중량은 얼마인가 ?

㉮ 1,000 kg   ㉯ 2,000 kg   ㉰ 5,000 kg    7,000 kg

19.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하고자 할 때 종자보증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

㉮ 국립종자관리소에서 벼 종자를 보급하는 경우     

㉯ 시, 군에서 보리 종자를 보급하는 경우

작물시험장에서 종자를 연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 농협에서 감자 종자를 판매하는 경우

20. 품종보호 출원시 제출하는 작물별 시험용 종자 시료량으로 맞는 것은 ?

제2과목 : 식  물  육  종  학

㉮ 벼 : 400 g  ㉯ 보리 : 1,000 g 콩 : 2,000 g ㉱ 밀: 1,500 g

21. 이계교배(異系交配)의 문제점이 될 수 없는 것은 ?

㉮ 형질 고정의 곤란   ㉯ 유전자 구성의 복잡

유전자 구성의 단순 ㉱ 교잡 불친화성

22. 시험구 배치에 있어서 품종과 반복이 반드시 같아야 하는 방법은 ?

㉮ 분할 시험구법 라틴방격법㉰ 난괴법 ㉱ 임의 배치법

23. 바빌로프(Vavilov)가 주요 작물의 재배 중심지를 8개 지역으로

나누었을 때 벼는 어느 지구에 속하는가 ?

㉮ 중국지구 힌두스탄지구  ㉰ 근동지구 ㉱ 중앙아메리카지구

24. 세포질 유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 세포질 유전물질은 플라스마진(Plasmagene)이라 한다

㉯ 색소체의 유전은 일반적으로 모계의 것만이 유전한다

㉰ 세포질 유전 물질은 DNA에 의하여 구성되고 자기증식을 한다

멘델성 유전과 같이 대립인자가 있다

25. 주동 유전자(major gene)와 폴리진(poly gene)의 차이점을 잘 설명한 것은 ?

주동 유전자는 지배가가 크다.

㉯ 폴리진의 유전력은 확실하게 다음 세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폴리진은 양적형질을 나타내고 주동 유전자는 질적 형질을 나타낸다.

㉱ 주동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의 형질 발현을 억제한다.

26. 조기검정을 응용하여 단기간에 계통의 조합능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3년을 1기간으로 하는 선발 방법은 ?

㉮ 누적선발법   순환선발법 ㉰ 상반순환선발법 ㉱ 계통간교잡법

27. 품종의 퇴화를 유전자 퇴화와 생리적 퇴화로 나눌 때 생리적 퇴화에 속하는 것은 ?

토양적 퇴화 ㉯ 돌연변이 퇴화

㉰ 자연교잡 퇴화 ㉱ 이형 유전자형의 분리

28. 다음 중 서로 관련되지 않는 것은 ?

수직 저항성 ㉯ 수평 저항성 ㉰ 미동유전자 저항성 ㉱ 총체적 저항성

29. 피자식물(被子植物)의 배젖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 n           ㉯ 2n           3n          ㉱ 4n

30. F2 집단의 유전력이 0.1이고 평균 수량이 500 g 일 때, 여기에서 우량개체를

선발하여 평균값이 750 g이 된다면 선발 개체군의 차대 집단의 평균 수량은 ?

㉮ 500 g        525 g       ㉰ 550 g       ㉱ 575 g

31. 자연 교잡율이 4 % 이하에 속하는 자식성 원예작물은 ?

㉮ 비이트      ㉯ 당근        ㉰ 양파         토마토

32. 양파의 웅성불임성인 Smsms와 NMsms의 다음 대에 나타나는 형은 ?

㉮ NMsms, Nmsms ㉯ NMsms, Smsms SMsms, Smsms ㉱ SMsMs, SMsms

33. 잡종강세 육종법 중 F1의 형질은 균일하나 종자 생산량이 적은 것은 ?

A × B ㉯ (A × B) × C ㉰ (A × B) × (C × D)

㉱ (A × B × C × D) × (E × F × G × H)

34. F1에 있어서 일반 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추정하는데 이용되는 검정 방법은 ?

㉮ 단교배 검정법 이면교배 검정법 

㉰ 다계교배 검정법 ㉱ 톱교배 검정법

35.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

㉮ 영양번식   ㉯ 격리재배 ㉰ 원원종 재배    교잡

36. 변이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 환경변이는 육종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 아조변이는 영양번식 작물에서 이용된다.

㉰ 자연돌연 변이율은 유전자 자리당 10-5 ~ 10-6 정도이다.

이질 배수체는 육종상 가치가 없다.

37. 게놈(Genome)이 서로 다른 종속간 교잡에 의해서 얻어지는 잡종의 배수성은 ?

이질배수체  ㉯ 동질이배체 ㉰ 동질배수체  ㉱ 이수체

38. 다음 중 염색체의 수적(數的) 변이는 ?

㉮ 역위         이수성      ㉰ 중복        ㉱ 전좌

39. 다음 중 잡종강세 현상이 나타나는 것과 가장 관계가 적은 가설은 ?

㉮ 우성유전자 연관설          ㉯ 유전자 작용의 상승효과

㉰ 헤테로 접합성설             돌연변이 유발설

40. 다음 변이 중 육종에 이용될 수 없는 변이는 ?

㉮ 돌연변이    방황변이   ㉰ 교잡변이   ㉱ 아조변이

제3과목 : 재   배   원   론

41. 작물을 일반식물과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은 ?

㉮ 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 생존경쟁에 있어서 유리하다.

특수부분이 잘 발달되어 있다.     ㉱ 환경적응성이 뛰어나다.

42. 토양 유기물의 기능이 될 수 없는 것은 ?

㉮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를 공급한다.   암석분해를 억제한다.

㉰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 미생물의 번식을 조장한다.

43. 다음 중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의 조합은 ?

㉮ 벼, 감자, 땅콩, 수박       시금치, 알팔파, 콩, 사탕무우

㉰ 당근, 옥수수, 목화, 오이  ㉱ 호박, 토란, 아마, 기장

44. 사과와 단감을 같이 보관할 때 단감의 조직이 연해지는 이유는?

㉮ 사과에서 Abscisic acid가 생성    ㉯ 단감에서 Auxin이 생성

사과에서 Ethylene이 생성          ㉱ 단감에서 Cytokinin이 생성

45. 식물 원형질의 팽만 상태는 ?

수분 포텐셜(ψw) = 0 bar  ㉯ 수분 포텐셜(ψw) = -5 bar

㉰ 수분 포텐셜(ψw) = -10 bar ㉱ 수분 포텐셜(ψw) = -15 bar

46. 논토양의 탈질현상을 방제하기 위하여 암모니아태 질소비료를 주는 가장 적합한 때는 ?

㉮ 이앙기 정지하기 전     ㉰ 최고분얼기  ㉱ 유수분화기

47. 다음 중 T/R율이 가장 많이 증대하는 것은 ?

㉮ 칼륨비료 다량시용  ㉯ 인산비료 다량시용 

질소비료 다량시용  ㉱ 석회다량 시용

48. 작물의 수량을 가장 많이 올리기 위해서 3가지 조건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합리적인가 ?

㉮ 유전성 - 노동 - 환경      ㉯ 노동 - 환경 - 재배기술

유전성 - 환경 - 재배기술  ㉱ 노동 - 유전성 - 재배기술

49. pH 4.0~8.0인 토양에서 가장 잘 생육할 수 있는 작물은 ?

호밀        ㉯ 시금치      ㉰ 메밀        ㉱ 땅콩

50. 내병성 품종의 형태적 특성으로 가장 옳은 것은 ?

㉮ 장간종이며 다비조건에서 줄기의 신장이 크다.

㉯ 잎이 늘어지는 현상이 크다.

㉰ 줄기의 탄력성이 약하다. 줄기가 굵고 단단하다.

51. 내습성이 가장 약한 작물은 ?

㉮ 벼, 택사, 미나리   ㉯ 밭벼, 옥수수, 율무

㉰ 감자, 고추, 메밀    당근, 양파, 파

52. 조파조식으로 영양생장기간을 연장하여 증수하고자 할 때 알맞는 기상생태형은 ?

㉮ blt 형      ㉯ Blt 형      ㉰ blT 형       bLt 형

53. 농업의 특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

㉮ 토지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작용한다.㉯ 농업노동은 분업이 곤란하다.

㉰ 농산물은 수급적응성이 적다.        농산물은 수요의 탄력성이 크다.

54. 종자춘화형식물에 속하는 것은 ?

추파맥류, 봄올무우 ㉯ 봄올무우, 양배추㉰ 양배추, 히요스 ㉱ 잠두, 히요스

55. 가지과 작물로서 호광성 종자인 것은 ?

㉮ 오이        ㉯ 상치         ㉰ 토마토       담배

56. 방사선동위원소가 방출하는 방사선 중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진 것은 ?

㉮ α 선       ㉯ β 선        γ선        ㉱ X선

57. 포기전체가 넘어지는 도복은 ?

뿌리도복   ㉯ 좌절도복   ㉰ 만곡도복   ㉱ 이삭도복

58. 작물에 탄산시비를 하는 경우 그 효과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광합성 촉진        ㉯ 호흡작용 감소      ㉰ 전류작용 촉진      ㉱ 병해충 방제

59. 식품을 저장할 때 살균․ 살충효과의 목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방사선 동위원소는 ?

45Ca        36Cl        14C           60Co

60. 감자를 생태적인 특성에 의하여 분류한 것은 ?

저온작물   ㉯ 서류(薯類) ㉰ 전분작물   ㉱ 채소

제4과목 : 식  물  보  호  학

61. 다음 중 유기합성 농약은 ?

㉮ 보르도액    다이아지논 ㉰ 송지합제   ㉱ 석유유제

62. 작물의 어느 곳에 뿌려도 약액이 퍼져서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방제에 유용한 약제는 ?

㉮ 잔류성 접촉제 ㉯ 불임제    침투성 살충제 ㉱ 훈증제

63. 칼탑 50 % 수용제를 1,000배로 희석해서 10a당 5말을 살포하려 한다.

칼탑 50 % 수용제의 소요량은 얼마인가 ?

㉮ 120 mL      100 mL     ㉰ 90 mL       ㉱ 80 mL

64. 잡초의 천이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요인은 ?

㉮ 강우        ㉯ 비옥도      ㉰ 토성         제초방법

65. 식물병의 제1차 전염원이 될 수 없는 것은 ?

㉮ 종자내의 병원체            ㉯ 토양내 월동 균핵

㉰ 포장내 이병 잔재물          생육기 병반상의 분생포자

66. 작물에 농약을 살포한 후 급성약해의 증상에 해당되는 것은 ?

반점 또는 낙엽현상        ㉯ 영양장해 현상

㉰ 품질저하 현상              ㉱ 수확물 감소 현상

67. 그램염색시 적색으로 염색되는 그램음성균으로 분류․동정에 활용되는 작물의 병은 ?

㉮ 감자둘레썩음병              가지과 식물의 풋마름병

㉰ 감자더뎅이병               ㉱ 감귤궤양병

68. 수도유효분얼 후 유수형성기 이전에 살포하는 제초제는 ?

㉮ 벤치오 입제 ㉯ 벤타존 액제 ㉰ 부타졸 입제  2,4-D 액제

69. 거미강 응애목이며 과수 및 채소 화훼작물의 줄기에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고 흡즙 부위는 백색의 점이 생기고 몸의 양측에 검은 무늬가 뚜렷한 이 해충은 ?

점박이응애  ㉯ 칠리이리응애㉰ 차응애 ㉱ 깍지응애

70. 응애 방제 방법 중 가장 적절한 방법은 ?

㉮ 독성이 강한 약제 살포㉯ 응애 전문약제 지속 살포

㉰ 고농도 살포로 완전 방제

저항성 유발 방지를 위한 계통이 다른 적용 약제의 교호 살포

71. 체외로 분비되는 곤충의 생리활성물질로 이를 이용하여 암수의

교미를 방해하여 방제하는데 이용되는 것은 ?

페로몬      ㉯ 호르몬      ㉰ 유인물질   ㉱ 불임제

72. 다음 중 생물학적 진단에 속하는 것은 ?

㉮ 혈청반응을 이용한 진단    ㉯ 황산구리를 이용한 진단

지표식물을 이용한 진단    ㉱ 현미경을 이용한 진단

73. 균체의 대부분이 기주식물의 외표면에 존재하면서 흡기를 표피에

삽입하여 정착하는 병원균은 ?

흰가루병균  ㉯ 노균병균   ㉰ 그을음병균  ㉱ 잿빛곰팡이병균

74. 다음 중에서 벌목 곤충에 속하는 것은 ?

㉮ 학질모기   ㉯ 왕소등애    왕개미      ㉱ 초파리

75. 완전변태하는 곤충은 ?

  ㉯ 메뚜기  ㉰ 매미  ㉱ 잠자리

76. 각종 작물의 잿빛곰팡이병 발생과 가장 관련이 깊은 기상 요인은 ?

㉮ 일사량      ㉯ 풍속          대기습도   ㉱ 토양온도

77. 잡초로 인한 피해 중 농경지에서의 피해로 볼 수 없는 것은 ?

㉮ 상호대립억제작용   ㉯ 기생 ㉰ 병해충의 매개 저수지의 부유식물

78. 다음 중 다년생 잡초는 ?

㉮ 개비름 ㉯ 방동사니 ㉰ 명아주 쇠뜨기

79. 작물보호의 의미를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

㉮ 새로이 도입된 종합적 방제를 뜻한다.

㉯ 병․해충방제는 신농약으로 보호하는 것을 뜻한다.

㉰ 병․해충방제는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보호하는 것을 뜻한다.

작물의 병․해충․잡초․기상 등의 재해로부터 작물을 합리적으로 보호하는 수단을 말한다.

80.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주는 ?

㉮ 갈매나무   ㉯ 매발톱나무 ㉰ 까치밥나무   향나무

 

제1과목 :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2004년도 산업기사일반검정 제3회<2004년 8월 8일시행>

1. 채종포에서 종자의 과도한 밀파(密播)를 피하는 이유는 ?

㉮ 파종량이 많아져 비용이 더 들므로㉯ 비료, 농약의 소모가 많으므로

㉰ 과번무(過繁茂)되어 포장관리가 어려워지므로

종실의 크기가 작아져 품질이 떨어지므로

2. 전분종자에서 전분립이 주로 저장되어 있는 곳은 ?

㉮ 배           배유        ㉰ 배축        ㉱ 떡잎

3. 옥수수 F1 품종의 종자를 채종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것은 ?

모본으로 이용하는 계통의 수꽃은 피기전에 제거한다.

㉯ 부본으로 이용하는 계통의 암꽃은 피기전에 제거한다.

㉰ 부본으로 이용하는 계통의 수꽃은 꽃가루가 비산하기 전에 제거한다.

㉱ 종자의 생산은 부본의 암꽃에서 얻어진 종자도 모본의 암꽃에서 얻어진 종자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4. 인공수분을 위한 개화기 조절 방법이 되지 못하는 것은 ?

㉮ 파종기 조절 ㉯ 적심에 의한 조절 붕소 시용 ㉱ 식물생장조절제 처리

5. 종자생산을 위한 채종재배에서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

㉮ 유전적으로 순수하게 생산한 종자로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 생리적으로 충실하고 종자 활력이 유지된 종자로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 병해충에 오염되지 않은 종자로서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다수확 재배법으로 생산한 종자로 경제성이 높아야

6. 종자 포장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방습질(防濕質)류의 가장 큰 장점은 ?

㉮ 무게가 가벼워진다.          종자 중량에 변화가 적다.

㉰ 포장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 재고목록을 비치하지 않아도 된다.

7. 국가보증의 정의로 맞는 것은 ?

㉮ 종자업자가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 종자관리사가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농림부장관이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 생산자단체가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8. 번식 수단으로 식물학상의 종자를 이용하는 것은 ?

㉮ 벼  ㉯ 쌀보리       ㉱ 옥수수

9. 종자관리사의 자격정지 1년에 해당하는 위반사항은 어느 것인가 ?

㉮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형의 선고를 받은 경우

㉯ 종자관리사 자격과 관련하여 2회 이상 이중취업을 한 경우

㉰자격정지 처분기간 종료 후 3년 이내에 자격정지처분에 해당 행위를한 경우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과실로타인에게막대한손실을가한경우

10. 종자의 저장방법 중에서 용기내에 질소가스를 충전하여 판매용

종자의 저장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

밀봉저장   ㉯ 층적저장   ㉰ 건조저장   ㉱ 냉건저장

11. 종자 순도 분석시 분류 항목이 아닌 것은 ?

㉮ 정립 (Pure seed)  ㉯ 이종종자 (Other seed)

쇄립 (Broken seed) ㉱ 이물 (Inert matter)

12. 규정에 의한 품종 명칭의 등록을 받을 수 있는 경우는 ?

㉮ 숫자 또는 기호로만 표시한 품종 명칭   

㉯ 공공질서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는 품종 명칭

㉰ 수확량만으로 표시한 품종 명칭

타인의 승낙을 득하여 그 사람의 성명을 이용한 품종 명칭

13. 식물의 화아유도에 영향을 주며 일장효과와 광선의 질에 의하여 결정되는 물질은 ?

㉮ 말레익 하이드라짓드(Maleic hydrazide (MH))  ㉯ 지베렐린 (GA3)

㉰ 사이토카이닌(Cytokinin)   파이토크롬(Phytochrome)

14. 종자의 발아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 효소의 활성화 → 과피 파열 → 수분 흡수 → 유묘출아 → 배의 생장개시

㉯ 배의 생장개시 → 수분 흡수 → 효소의 활성화 → 유묘 출아 → 과피 파열

수분 흡수 → 효소의 활성화 → 배의 생장개시 → 과피 파열 → 유묘 출아

㉱ 유묘 출아 → 배의 생장개시 → 효소의 활성화 → 수분 흡수 → 과피 파열

15. 국제적인 인정을 받기 위하여 발아검사를 할 때의 최소 시료는 어느 정도여야 하는가 ?

㉮ 50립씩 2반복 ㉯ 50립씩 4반복㉰ 100립씩 2반복 100립씩 4반복

16. 종자 채종 기술에서 기회적 부동(機會的浮動, random drift)이란 무엇?

㉮ 채종 조건에 따라 그 해에 발현되는 표현형 비율

㉯ 선발 과정에서 특수한 형질만을 선발하여 채종하는 경우

㉰ 개화기에 타가수정에 의해서 잡종 발현 비율이 달라지는 현상

특정 유전자형만 채종되어 다음 세대의 유전자형 비율이 달라지는 현상

17. 종자 발아력 검사방법 가운데 발아력을 가장 빨리 검사할수있는방법은 ?

㉮ X-선 검사법        ㉯ 효소활성 측정법

㉰ 전기전도율 검사법   테트라졸리움(TZ) 검사법

18. 정선할 벼 종자 8000 kg 시료종자를 접수하여 수분함량이 23 %인 종자를

12 %로 건조시킬 때의 종자 중량은 얼마인가 ?

㉮ 1,000 kg   ㉯ 2,000 kg   ㉰ 5,000 kg    7,000 kg

19.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하고자 할 때 종자보증을 받지않아도되는경우는 ?

㉮ 국립종자관리소에서 벼 종자를 보급하는 경우     

㉯ 시, 군에서 보리 종자를 보급하는 경우

작물시험장에서 종자를 연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 농협에서 감자 종자를 판매하는 경우

20. 품종보호 출원시 제출하는 작물별 시험용 종자 시료량으로 맞는 것은 ?

제2과목 : 식  물  육  종  학

㉮ 벼 : 400 g  ㉯ 보리 : 1,000 g 콩 : 2,000 g ㉱ 밀: 1,500 g

21. 이계교배(異系交配)의 문제점이 될 수 없는 것은 ?

㉮ 형질 고정의 곤란   ㉯ 유전자 구성의 복잡

유전자 구성의 단순 ㉱ 교잡 불친화성

22. 시험구 배치에 있어서 품종과 반복이 반드시 같아야 하는 방법은 ?

㉮ 분할 시험구법 라틴방격법㉰ 난괴법 ㉱ 임의 배치법

23. 바빌로프(Vavilov)가 주요 작물의 재배 중심지를 8개 지역으로

나누었을 때 벼는 어느 지구에 속하는가 ?

㉮ 중국지구 힌두스탄지구  ㉰ 근동지구 ㉱ 중앙아메리카지구

24. 세포질 유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 세포질 유전물질은 플라스마진(Plasmagene)이라 한다

㉯ 색소체의 유전은 일반적으로 모계의 것만이 유전한다

㉰ 세포질 유전 물질은 DNA에 의하여 구성되고 자기증식을 한다

멘델성 유전과 같이 대립인자가 있다

25. 주동 유전자(major gene)와 폴리진(poly gene)의차이점을잘설명한것은 ?

주동 유전자는 지배가가 크다.

㉯ 폴리진의 유전력은 확실하게 다음 세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폴리진은 양적형질을 나타내고 주동 유전자는 질적 형질을 나타낸다.

㉱ 주동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의 형질 발현을 억제한다.

26. 조기검정을 응용하여 단기간에 계통의 조합능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3년을 1기간으로 하는 선발 방법은 ?

㉮ 누적선발법   순환선발법 ㉰ 상반순환선발법 ㉱ 계통간교잡법

27. 품종의 퇴화를 유전자 퇴화와 생리적 퇴화로 나눌 때 생리적 퇴화에 속하는 것은 ?

토양적 퇴화 ㉯ 돌연변이 퇴화

㉰ 자연교잡 퇴화 ㉱ 이형 유전자형의 분리

28. 다음 중 서로 관련되지 않는 것은 ?

수직 저항성 ㉯ 수평 저항성 ㉰ 미동유전자 저항성 ㉱ 총체적 저항성

29. 피자식물(被子植物)의 배젖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 n           ㉯ 2n           3n          ㉱ 4n

30. F2 집단의 유전력이 0.1이고 평균 수량이 500 g 일 때, 여기에서 우량개체를 선발하여 평균값이 750 g이 된다면 선발 개체군의 차대 집단의 평균 수량은 ?

㉮ 500 g        525 g       ㉰ 550 g       ㉱ 575 g

31. 자연 교잡율이 4 % 이하에 속하는 자식성 원예작물은 ?

㉮ 비이트      ㉯ 당근        ㉰ 양파         토마토

32. 양파의 웅성불임성인 Smsms와 NMsms의 다음 대에 나타나는 형은 ?

㉮ NMsms, Nmsms ㉯ NMsms, Smsms SMsms, Smsms ㉱ SMsMs, SMsms

33. 잡종강세 육종법 중 F1의 형질은 균일하나 종자 생산량이 적은 것은 ?

A × B ㉯ (A × B) × C ㉰ (A × B) × (C × D)

㉱ (A × B × C × D) × (E × F × G × H)

34. F1에 있어서 일반 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추정하는데 이용되는 검정 방법은 ?

㉮ 단교배 검정법 이면교배 검정법  ㉰ 다계교배 검정법 ㉱ 톱교배 검정법

35.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

㉮ 영양번식   ㉯ 격리재배 ㉰ 원원종 재배    교잡

36. 변이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 환경변이는 육종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 아조변이는 영양번식 작물에서 이용된다.

㉰ 자연돌연 변이율은 유전자 자리당 10-5 ~ 10-6 정도이다.

이질 배수체는 육종상 가치가 없다.

37. 게놈(Genome)이 서로 다른 종속간 교잡에 의해서 얻어지는 잡종의 배수성은 ?

이질배수체  ㉯ 동질이배체 ㉰ 동질배수체  ㉱ 이수체

38. 다음 중 염색체의 수적(數的) 변이는 ?

㉮ 역위         이수성      ㉰ 중복        ㉱ 전좌

39. 다음 중 잡종강세 현상이 나타나는 것과 가장 관계가 적은 가설은 ?

㉮ 우성유전자 연관설          ㉯ 유전자 작용의 상승효과

㉰ 헤테로 접합성설             돌연변이 유발설

40. 다음 변이 중 육종에 이용될 수 없는 변이는 ?

㉮ 돌연변이    방황변이   ㉰ 교잡변이   ㉱ 아조변이

제3과목 : 재   배   원   론

41. 작물을 일반식물과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은 ?

㉮ 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 생존경쟁에 있어서 유리하다.

특수부분이 잘 발달되어 있다.     ㉱ 환경적응성이 뛰어나다.

42. 토양 유기물의 기능이 될 수 없는 것은 ?

㉮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를 공급한다.   암석분해를 억제한다.

㉰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 미생물의 번식을 조장한다.

43. 다음 중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의 조합은 ?

㉮ 벼, 감자, 땅콩, 수박       시금치, 알팔파, 콩, 사탕무우

㉰ 당근, 옥수수, 목화, 오이  ㉱ 호박, 토란, 아마, 기장

44. 사과와 단감을 같이 보관할 때 단감의 조직이 연해지는 이유는?

㉮ 사과에서 Abscisic acid가 생성    ㉯ 단감에서 Auxin이 생성

사과에서 Ethylene이 생성          ㉱ 단감에서 Cytokinin이 생성

45. 식물 원형질의 팽만 상태는 ?

수분 포텐셜(ψw) = 0 bar  ㉯ 수분 포텐셜(ψw) = -5 bar

㉰ 수분 포텐셜(ψw) = -10 bar ㉱ 수분 포텐셜(ψw) = -15 bar

46. 논토양의 탈질현상을 방제하기 위하여 암모니아태 질소비료를 주는 가장 적합한 때는 ?

㉮ 이앙기 정지하기 전     ㉰ 최고분얼기  ㉱ 유수분화기

47. 다음 중 T/R율이 가장 많이 증대하는 것은 ?

㉮ 칼륨비료 다량시용  ㉯ 인산비료 다량시용 

질소비료 다량시용  ㉱ 석회다량 시용

48. 작물의 수량을 가장 많이 올리기 위해서 3가지 조건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합리적인가 ?

㉮ 유전성 - 노동 - 환경      ㉯ 노동 - 환경 - 재배기술

유전성 - 환경 - 재배기술  ㉱ 노동 - 유전성 - 재배기술

49. pH 4.0~8.0인 토양에서 가장 잘 생육할 수 있는 작물은 ?

호밀        ㉯ 시금치      ㉰ 메밀        ㉱ 땅콩

50. 내병성 품종의 형태적 특성으로 가장 옳은 것은 ?

㉮ 장간종이며 다비조건에서 줄기의 신장이 크다.

㉯ 잎이 늘어지는 현상이 크다.

㉰ 줄기의 탄력성이 약하다. 줄기가 굵고 단단하다.

51. 내습성이 가장 약한 작물은 ?

㉮ 벼, 택사, 미나리   ㉯ 밭벼, 옥수수, 율무

㉰ 감자, 고추, 메밀    당근, 양파, 파

52. 조파조식으로 영양생장기간을 연장하여 증수하고자 할 때 알맞는 기상생태형은 ?

㉮ blt 형      ㉯ Blt 형      ㉰ blT 형       bLt 형

53. 농업의 특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

㉮ 토지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작용한다.㉯ 농업노동은 분업이 곤란하다.

㉰ 농산물은 수급적응성이 적다.        농산물은 수요의 탄력성이 크다.

54. 종자춘화형식물에 속하는 것은 ?

추파맥류, 봄올무우 ㉯ 봄올무우, 양배추㉰ 양배추,히요스 ㉱ 잠두,히요스

55. 가지과 작물로서 호광성 종자인 것은 ?

㉮ 오이        ㉯ 상치         ㉰ 토마토       담배

56. 방사선동위원소가 방출하는 방사선 중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진 것은 ?

㉮ α 선       ㉯ β 선        γ선        ㉱ X선

57. 포기전체가 넘어지는 도복은 ?

뿌리도복   ㉯ 좌절도복   ㉰ 만곡도복   ㉱ 이삭도복

58. 작물에 탄산시비를 하는 경우 그 효과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광합성 촉진    ㉯ 호흡작용 감소     ㉰ 전류작용 촉진   ㉱ 병해충 방제

59. 식품을 저장할 때 살균․ 살충효과의 목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방사선 동위원소는 ?

45Ca        36Cl        14C           60Co

60. 감자를 생태적인 특성에 의하여 분류한 것은 ?

저온작물   ㉯ 서류(薯類) ㉰ 전분작물   ㉱ 채소

제4과목 : 식  물  보  호  학

61. 다음 중 유기합성 농약은 ?

㉮ 보르도액    다이아지논 ㉰ 송지합제   ㉱ 석유유제

62. 작물의 어느 곳에 뿌려도 약액이 퍼져서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방제에 유용한 약제는 ?

㉮ 잔류성 접촉제 ㉯ 불임제    침투성 살충제 ㉱ 훈증제

63. 칼탑 50 % 수용제를 1,000배로 희석해서 10a당 5말을 살포하려 한다.

칼탑 50 % 수용제의 소요량은 얼마인가 ?

㉮ 120 mL      100 mL     ㉰ 90 mL       ㉱ 80 mL

64. 잡초의 천이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요인은 ?

㉮ 강우        ㉯ 비옥도      ㉰ 토성         제초방법

65. 식물병의 제1차 전염원이 될 수 없는 것은 ?

㉮ 종자내의 병원체            ㉯ 토양내 월동 균핵

㉰ 포장내 이병 잔재물          생육기 병반상의 분생포자

66. 작물에 농약을 살포한 후 급성약해의 증상에 해당되는 것은 ?

반점 또는 낙엽현상        ㉯ 영양장해 현상

㉰ 품질저하 현상              ㉱ 수확물 감소 현상

67. 그램염색시 적색으로 염색되는 그램음성균으로 분류․동정에 활용되는 작물의 병은 ?

㉮ 감자둘레썩음병              가지과 식물의 풋마름병

㉰ 감자더뎅이병               ㉱ 감귤궤양병

68. 수도유효분얼 후 유수형성기 이전에 살포하는 제초제는 ?

㉮ 벤치오 입제 ㉯ 벤타존 액제 ㉰ 부타졸 입제  2,4-D 액제

69. 거미강 응애목이며 과수 및 채소 화훼작물의 줄기에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고 흡즙 부위는 백색의 점이 생기고 몸의 양측에 검은 무늬가 뚜렷한 이 해충은 ?

점박이응애  ㉯ 칠리이리응애 ㉰ 차응애 ㉱ 깍지응애

70. 응애 방제 방법 중 가장 적절한 방법은 ?

㉮ 독성이 강한 약제 살포㉯ 응애 전문약제 지속 살포

㉰ 고농도 살포로 완전 방제

저항성 유발 방지를 위한 계통이 다른 적용 약제의 교호 살포

71. 체외로 분비되는 곤충의 생리활성물질로 이를 이용하여 암수의

교미를 방해하여 방제하는데 이용되는 것은 ?

페로몬      ㉯ 호르몬      ㉰ 유인물질   ㉱ 불임제

72. 다음 중 생물학적 진단에 속하는 것은 ?

㉮ 혈청반응을 이용한 진단    ㉯ 황산구리를 이용한 진단

지표식물을 이용한 진단    ㉱ 현미경을 이용한 진단

73. 균체의 대부분이 기주식물의 외표면에 존재하면서 흡기를 표피에

삽입하여 정착하는 병원균은 ?

흰가루병균  ㉯ 노균병균   ㉰ 그을음병균  ㉱ 잿빛곰팡이병균

74. 다음 중에서 벌목 곤충에 속하는 것은 ?

㉮ 학질모기   ㉯ 왕소등애    왕개미      ㉱ 초파리

75. 완전변태하는 곤충은 ?

  ㉯ 메뚜기  ㉰ 매미  ㉱ 잠자리

76. 각종 작물의 잿빛곰팡이병 발생과 가장 관련이 깊은 기상 요인은 ?

㉮ 일사량      ㉯ 풍속          대기습도   ㉱ 토양온도

77. 잡초로 인한 피해 중 농경지에서의 피해로 볼 수 없는 것은 ?

㉮ 상호대립억제작용   ㉯ 기생 ㉰ 병해충의 매개 저수지의 부유식물

78. 다음 중 다년생 잡초는 ?

㉮ 개비름 ㉯ 방동사니 ㉰ 명아주 쇠뜨기

79. 작물보호의 의미를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

㉮ 새로이 도입된 종합적 방제를 뜻한다.

㉯ 병․해충방제는 신농약으로 보호하는 것을 뜻한다.

㉰ 병․해충방제는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보호하는 것을 뜻한다.

작물의 병․해충․잡초․기상 등의 재해로부터 작물을 합리적으로 보호하는 수단을 말한다.

80.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주는 ?

㉮ 갈매나무   ㉯ 매발톱나무 ㉰ 까치밥나무   향나무

 

 

제1과목 :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2005년도 산업기사 제1회 <2005년 3월 6일 시행>

1. 볍씨를 물속에서 발아시키면 어떻게 되는가?

유아(幼芽)가 먼저 나온다.㉯ 초엽이 먼저 나온다.

㉰ 유아와 유근이 같이 나온다.

㉱ 저온에서는 유근이, 고온에서는 유아가 먼저 나온다.

2. 다음 중 이형예현상을 나타내는 작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보리        ㉯ 수수         메밀        ㉱ 콩

3. 원원종 채종 재배시 이품종으로부터 포장 격리거리가 가장 먼 품종은?

㉮ 벼   ㉯ 보리        옥수수      ㉱ 팥

4. 당근의 채종재배시 적심을 하는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 조기채종   ㉯ 개화기 조절 ㉰ 결실율 조절 종자성숙도의 균일화

5. 다음은 유통종자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의 처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분쟁의 당사자는 분쟁 대상종자와 보관관리 중인 종자와의 대비시험을 신청할 수 있다.

㉯ 대비시험은 분쟁 당사자가 종자시료를 공동으로 채취하여야 한다.

분쟁 당사자는 대비시험에 필요한 자료를 대비시험 기관에 추가로 제출해서는 안된다.

㉱ 대비시험이 종료되면 그 결과를 분쟁 당사자에게 통보한다.

6. 다음 중 종자 발아력 검정에 사용되는 간이 검정법이 아닌 것은

발아시험기에 의한 방법    ㉯ 과산화효소법(guaiacol method)

㉰ 테트라죨륨법(tetrazolium method) ㉱ X선조사에 의한 방법

7. 다음의 국가품종목록에 등재된 품종 및 종자생산에 대해

종자산업법에 위반된 경우는?

㉮ 종자업자가 단옥수수 종자를 생산하여 보급하였다.

㉯ 농협이 콩 종자를 생산하여 공급하였다.

농민이 자체적으로 벼 품종을 육성하여 종자를 생산한 후 공급하였다.

㉱ 경기도지사가 경기도의 수익사업을 위해 보리 종자를 생산하여

도 농민에게 공급하였다.

8. 채종지 관리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 병해충 방지 질소과용   ㉰ 중간 기주식물의 제거  ㉱ 청결한 관리

9. 종자의 정선 및 선별과정에 대한 순서를 나열한 것으로 순서가 가장 바른 것은?

수납 - 조제 - 정선 - 선별 - 소독 - 포장 - 수송

㉯ 수납 - 조제 - 선별 - 정선 - 소독 - 포장 - 수송

㉰ 수납 - 선별 - 조제 - 정선 - 소독 - 포장 - 수송

㉱ 수납 - 조제 - 정선 - 선별 - 포장 - 소독 - 수송

10. 다음 중 품종명칭 등록 요건에 부합되는 것은?

㉮ 기호로만 표시한 품종명칭

㉯ 당해품종의 수확물의 산지명을 표시한 품종명칭

㉰ 작물의 속 또는 종의 명칭

문자로 구성된 용어로 기존의 등록된 품종명칭과 구별되는 명칭

11. 포장검사 및 종자검사실시요령에 의한 100kg까지의 포장물에서

소집단의 크기가 5 - 8대 일 때 시료채취를 해야할 1차 시료의 갯수로 옳은 것은?

㉮ 매 포장에서 3개 이상       매 포장에서 2개 이상

㉰ 매 포장에서 1개 이상      ㉱ 총 포장에서 15개 이상

12. 채종재배에 있어서 충매를 방지하기 위한 격리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울타리를 세워서 재배      ㉯ 망실에 재배

㉰ 1km 이상 떨어져서 재배    ㉱ 강 건너편에서 멀리 떨어져 재배

13. 종자산업법상 국가품종목록에 등재하여야 할 작물은?

         ㉯ 무          ㉰ 밀          ㉱ 배추

14. 고추종자 15g으로 순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정립을 칭량하는

소수점이하 단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 13.1g        13.12g     ㉰ 13.123g    ㉱ 13.124g

15. 종자산업법에 의하여 품종보호를 받을 수 있는 대상작물이 아닌 것은?

㉮ 보리        ㉯ 수박        ㉰ 배           국화

16. 종자생산에서 수확적기의 결정은 종자 활력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그 판단 기준에 가장 맞지 않는 것은?

식물체 외양과 종자의 수분 함량에 따라 결정한다.

㉯ 초기에 개화 성숙한 종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 생리적 성숙기에 도달한 때가 수확 적기다.

㉱ 개화기에 따라 종자활력을 검정하여 성숙한 종자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17. 식물의 화기구조에서 종자로 성숙하는 부위는?

㉮ 씨방         배주        ㉰ 주피        ㉱ 주심

18. 암배우체 (자성배우자)가 형성된 후 배낭에서 8개의 반수체 핵의

기능과 수가 맞는 것은?

반족세포 3개, 극핵 2개, 난핵 1개, 조세포 2개

㉯ 반족세포 2개, 극핵 2개, 난핵 1개, 조세포 3개

㉰ 반족세포 2개, 극핵 2개, 난핵 2개, 조세포 2개

㉱ 반족세포 3개, 극핵 2개, 난핵 2개, 조세포 1개

19. 발아시험시 재시험을 실시해야 되는 경우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발아율조사에 있어서 허용오차범위를 넘었을 때

㉯ 경실종자 등이 많아 만족한 시험결과가 아닐 때

㉰ 묘 평가의 실수로 인한 시험결과의 신빙성이 낮을 때

발아시험 온도가 ±0.5℃의 범위를 넘었을 때

20. 장일성 식물을 한계일장보다 짧은 조건에 두면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제2과목 : 식  물  육  종  학

㉮ 발아 촉진  ㉯ 발아 지연  ㉰ 개화 촉진   개화 지연


21. 일장처리의 효과를 작물 육종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돌연변이 유발      ㉯ 개화촉진   ㉰ 세대 단축  ㉱ 개화지연

22. 다음 중 변이를 일으키는 원인에 따라서 구별한 것에 속하지 않는 변이는?

㉮ 장소변이    연속변이   ㉰ 교배변이   ㉱ 돌연변이

23. 식물체간 균일성은 떨어지더라도 수량만 많으면 되는 작물에 적용되는 교잡종자 생산 방법은?

㉮ 단교잡      ㉯ 삼계교잡    복교잡      ㉱ 다계교잡

24. 도입육종시 가장 먼저 행하여야 할 사항은?

㉮ 포장에서 특성 조사        ㉯ 연구기관에 종자 배급

식물검역                   ㉱ 순화

25. 식물의 색소체가 유전하는 방식은?

세포질 유전  ㉯ 등위 유전 ㉰ 완전 우성  ㉱ 불완전 우성

26. 핵을 잃은 난세포의 세포질에서 웅핵 단독으로 배를 형성하는 생식은?

㉮ 무배생식   ㉯ 처녀생식   ㉰ 영양생식    무핵란생식

27. 2배체 작물에서 2쌍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독립 유전의 경우

F2세대에 있어서의 유전자형의 종류는?

㉮ 4           ㉯ 8            9           ㉱ 16

28. 형질전환을 위한 외래유전자 도입방법 중 토양세균의 DNA가 식물세포의

핵게놈에 끼어 들어가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과 관련된 것은?

Ti - 플라스미드(Ti - plasmid)    ㉯ 유전자총(gene gun,bombardment)

㉰ 꽃양배추모자이크 바이러스(CaMV virus)  ㉱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29. 유전적 원인에 의한 불임현상이 아닌 것은?

㉮ 이형예현상   다즙질불임성㉰ 세포질적불임성 ㉱ 자가불화합성

30. 씨없는 수박을 만드는 교잡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4배체 × 3배체 4배체 × 2배체㉰ 3배체 × 4배체 ㉱ 4배체 × 반수체

31. 고정된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 영양번식   ㉯ 격리재배   ㉰ 원원종 재배 교잡

32. 유전자의 격리(隔離) 조건 중 개화기의 차이로 격리가 되는 현상은?

㉮ 지리적 격리 시간적 격리 ㉰ 생리적 격리 ㉱ 장소적 격리

33. 수분과다에 의한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은?

㉮ 내건성      ㉯ 내한성       내습성      ㉱ 내비성

34. (A×B)×(C×D)과 같은 교잡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단교잡      ㉯ 삼원교잡    복교잡      ㉱ 다교잡

35. 농작물의 신품종이 구비해야 할 조건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우수성, 내병성, 좋은 품질         ㉯ 내병성, 내한성, 내비성

우수성, 균등성, 영속성            ㉱ 균등성, 다수성, 내한성

36. 현재 종자회사에서 판매하는 채소 품종들은 주로 어떤 종류인가?

F1 잡종     ㉯ 재래종      ㉰ 고정종      ㉱ 변이종

37. 다음 중 그 의미가 가장 다른 것은?

수직 저항성                        ㉯ 수평 저항성         

㉰ 미동유전자 저항성                 ㉱ 포장 저항성

38. 양성잡종에서 독립유전의 법칙이 성립되어 F2에서의 표현형 분리비가

9 : 3 : 3 : 1이 될 수 있는 전제 조건은?

㉮ 비대립유전자 상호작용이 있어야 함.

㉯ 두 개의 유전자가 동일한 염색체상에 위치해야 함.

㉰ 두쌍의 대립유전자 상호작용에서 공우성이 성립되어야 함.

F1 식물체가 만드는 4종류의 배우자 출현비율이 같아야 함.

39. X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유전자에 의하여 유전되는 현상은?

㉮ 한성유전    반성유전   ㉰ 종성유전   ㉱ 상염색체유전

40. 자가불임 또는 자웅이주 작물에 적용되는 육종법은?

집단교잡법  ㉯ 계통육종법 ㉰ 여교잡육종법 ㉱ 혼합육종법

제3과목 : 재   배    원   론

41. 한가지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조간(條間-고랑사이)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은?

㉮ 혼작(mixed cropping)                       간작(intercropping)

㉰ 점혼작(point mixed cropping)             ㉱ 교호작(row intercropping)

42. 피자식물에서 중복수정을 끝낸 후의 염색체 수가 올바르게 된 것은?

㉮ 씨눈 2n + 씨젖 2n           씨눈 2n + 씨젖 3n

㉰ 씨눈 3n + 씨젖 2n          ㉱ 씨눈 3n + 씨젖 3n

43. 다음 중 도복저항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도복지수가 높은 품종이 도복저항성이 높다.

㉯ 좌절중을 작게 하면 도복저항성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단간종, 수수형 품종은 도복저항성이 높다.

㉱ 간장, 수중이 커지면 도복지수가 낮아진다.

44. 벼 재배에서 정방형식으로 이앙할 때 생육상 가장 유리한 것은?

㉮ 후기생육의 조장             초기생육의 조장

㉰ 노력이 절감에 유리         ㉱ 척박지에 알맞은 이앙방식

45. 다음 중 연작 장해가 가장 심한 섬유 작물은?

아마        ㉯ 대마        ㉰ 청마        ㉱ 저마

46. 다음 중 작물의 일반분류로 가장 적당한 것은?

㉮ 전분작물 - 옥수수, 고구마, 단수수

식용작물 - 벼, 보리, 옥수수, 감자, 강남콩

㉰ 사료작물 - 옥수수, 알팔파, 왕골  ㉱ 원예작물 - 포도, 가지, 차, 담배

47. 환상박피(Girdling, Ringing)에 의하여 과수의 개화, 결실을 조절하는

것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 일장효과   ㉯ 춘화처리   ㉰ 감온성       C-N율

48. 다음 중 습해의 대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이랑과 고랑의 높이를 동일하게 한다.㉯ 점토로 객토한다.

㉰ 황산근 비료를 시용한다.            과산화석회를 분의하여 파종한다.

49. 감자의 번식에 사용되는 종서로 가장 적당한 것은?

㉮ 비늘줄기(鱗莖) ㉯ 알뿌리(球莖)㉰ 덩이뿌리(塊根) 덩이줄기(塊莖)

50. 다음 중 크세니아 현상이 나타나는 작물은?

          ㉯ 감          ㉰ 배          ㉱ 사과

51. 식물체의 안토시아닌(Anthocyanin)의 생성을 촉진하는 빛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자색광      ㉯ 녹색광      ㉰ 황색광      ㉱ 적색광

52. 다음 중 빗물에만 의존하여 농사를 짓는 논은?

㉮ 건답         천수답      ㉰ 누수답      ㉱ 습답

53. 원예작물(green crops)로서 과채류에 속하는 것은?

㉮ 아스파라거스        수박         ㉰ 완두        ㉱ 상치

54. 작물의 내적 균형을 표현하는 지표가 아닌 것은?

㉮ C/N율       ㉯ T/R율       ㉰ G-D균형     L/W율

55. 북반구에서 대기권 태양광선의 약 몇 %가 지표면에 도달하는가?

㉮ 12%         ㉯ 30%          47%         ㉱ 75%

56. 다음 중 한해(旱害)의 대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토양입단을 파괴한다.               지면을 피복한다.

㉰ 잡초를 제거 하지 않는다.          ㉱ 밭에서는 뿌림골을 높게한다.

57. 다음 중 대목이 포장에 있는 채로 접목하는 방법은?

㉮ 양접         거접        ㉰ 기접        ㉱ 근접

58. 병해저항성 중 포장저항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은?

수평저항성                          ㉯ 수직저항성

㉰ 레이스(race)적 저항성             ㉱ 진성저항성

59. 다음 중 내염성이 강한 작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보리        ㉯ 양배추       감자        ㉱ 목화

60. 다음 중 작물이 단시간 내에 동사(凍死)하는 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제4과목 : 식  물  보  호  학

㉮ 감   호밀       ㉰ 보리        ㉱ 복숭아

61. 밤나무의 눈에 기생하여 혹을 형성함으로 순이 자라지 못하고,

개화결실도 하지 못하여 결국은 작은 가지부터 고사한다. 연 1회

발생하고 어린 유충으로 겨울눈 속에서 월동하는 이 해충은?

㉮ 밤나무혹응애 밤나무순혹벌㉰ 밤나무왕진딧물 ㉱ 밤나무알락진딧물

62. 작물에 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화학적 조성을 가장 알맞게 설명한 것은?

㉮ 초현미경적 미세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는 핵단백질이고, 비세포성 입자구조로 되어있다.

㉰ 단백질 덩어리로 되어 있고, 전염성이다.

㉱ 식물세포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자기증식을 한다.

63. 단위면적당 잡초의 발생밀도가 높아지면 농작물에 장해(障害)현상이

나타나는데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작물의 발육 불량                   ㉯ 작물의 수량 저하

㉰ 생산물의 품질 저하                 작물의 수정 장해

64. 약제의 입자가 가장 작아서, 다른 방법으로는 부착이 곤란한 곳에도

잘 부착할 수 있게 농약을 처리하는 방법은?

㉮ 살분법       연무법      ㉰ 분무법      ㉱ 도포법

65. 다음 중 유기인계 농약은?

메프유제(스미치온, 호리치온)     ㉯ 가벤다 수화제(마이코, 해마지)

㉰ 벤즈 유제(온콜)                    ㉱ 비피 유제(밧사, 멸사리)

66. 파라코액제(그라목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과수, 조림지 및 비농경지 제초제  ㉯ 침투성이 매우 강한 농약

㉰ 작물이 있는 곳에는 절대 사용금지  계통은 아마이드계 제초제

67. 다음 중 잡초의 피해 요인에 맞지 않는 것은?

㉮ 작물에 기생                         ㉯ 작물과의 경쟁

수온 및 지온 상승 요인            ㉱ 혼입 및 부착

68. 다음 중 감자잎말림병의 병원균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바이러스   ㉯ 진균         ㉰ 세균        ㉱ 파이토플라스마

69. 살포액의 물리적 성질을 설명할 때 살포된 약제가 식물체나 충체내 스며드는 성질은?

침투성      ㉯ 유화성      ㉰ 습전성      ㉱ 수화성

70. 부적합한 생육환경이나 겨울철을 지내기 위해 곰팡이 중에서 난균류가 만드는 월동태는?

㉮ 분생포자    난포자      ㉰ 후막포자   ㉱ 담자포자

71. '1년 잡초는 7년 제초'라는 말과 가장 밀접한 방제법은?

㉮ 생태적 방제 ㉯ 화학적 방제 ㉰ 생물적 방제 예방적 방제

72. 다음 중 곤충의 특징을 틀리게 설명한 것은?

모든 곤충은 1쌍의 겹눈과 1~3개의 홑눈을 가지고 있다.

㉯ 가슴에는 대개 2쌍의 기문이 있다.

㉰ 인간에 피해를 주는 해충보다는 피해가 거의 없거나 유익한 곤충이 더 많다.

㉱ 날개는 가운데 가슴과 뒷가슴에 위치한다.

73. 식물병을 동정하는 데 있어서 코호(Koch)의 원칙이 아닌 것은?

㉮ 병원체는 반드시 병든 부분에 존재해야 한다.

분리한 병원체를 대량 배양할 수 있어야 한다.

㉰ 병원체를 순수배양하여 접종하면 같은 병을 일으킨다.

㉱ 접종한 식물로부터 같은 병원균을 분리할 수 있다.

74. 다음 중 살균제의 분류 중 사용목적 및 사용대상에 따른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종자소독제  ㉯ 경엽처리제  보호살균제  ㉱ 토양처리제

75. 다음 중 해충 방제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내충성 품종을 이용한다.

포장주위에 잡초를 유지하여 해충을 유인한다.

㉰ 적정량의 살충제를 살포한다.

㉱ 기주범위가 좁은 해충에는 윤작이 효과적이다.

76. 다음 중 식물병의 생물학적 진단이 아닌 것은?

㉮ 지표식물에 의한 병의 진단 ㉯ 충체 내 주사법에 의한 진단

㉰ 즙액접종에 의한 진단       혈청학적 진단77. 다음 중 농약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 농작물에 대한 약해가 없을 것      잔류성이 클 것

㉰ 인축, 어류에 대한 독성이 적을 것 ㉱ 다른 약제와 혼용범위가 넓을 것

78. 병원체가 기주식물을 침입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무엇?

㉮ 반응성      ㉯ 감수성      ㉰ 소인         병원력

79. 식물병을 방제하기 위한 윤작 선정시의 고려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병원체의 전반 방법                 ㉯ 병원체의 생존 능력

㉰ 병원체의 개체군 밀도와 증식능력  ㉱ 병원체의 감소, 제거 가능성

80. 일반적으로 식물 병원곰팡이의 포자 발아에 가장 큰 영향을미치는 것은?

습도 ㉯ 낮의 길이  ㉰ 밤의 온도  ㉱ 식물의 나이

 


이 포스트를..

덧글 쓰기 엮인글 쓰기

이전글 - 종자산업법정리

다음글 - 소림원 기본 분재강의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