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겨,,추천해주고싶지 않는 운동...
인간이 건강하게 살아감에 있어서는 운동이 가장 중요시된다.
비단, 운동선수뿐 아니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현시점에서도 일반들은
건강을 위해 운동을한다.
마라톤, 수영, 사이클은 심폐호흡력 증강에 도움이 크며,
특히 수영은 관절이 좋지 않거나 뼈가 약한 노년층에 크게 도움이 된다.
태권도나 가라테, 유도와 쿵푸등은 근지구력 향상과 기초체력향상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생활체육으로 즐겨하는 배드민턴,탁구, 축구,야구,농구 등은
오락과 스포츠가 적절히 조합된 것으로 즐거움을 동반한 운동이다.
즐겁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뛰고, 달리고, 재빠르게 움직임으로
지구력과 심장기능강화에 도움이 크다...
그러나 비단 운동이 모두 좋다고는 볼수가 없다.
대표적인 예가 역도가 아닐까 생각된다.
물론 역도를 하기위해서는 기초체력을 강화해야하기 때문에 좋을것 같다.
80킬로나 90킬로등 자신의 몸무게가 넘는 무게를 들기위해서는 엄청난 운동이
필요한것이 사실이기때문...
그러나 역도자체의 운동으로 본다면 과연그럴까?
우선 자신의 무게보다 과하게 넘치는 무게를 들게되면 뼈가가라앉거나 무뎌진다.
당연히 더 커질수 있던 키가 저하되고, 뼈고 자신도 모르게 조금씩 허물어진다.
그러기때문에 역도는 나이가 조금만 먹어도 대부분의 선수가 은퇴하거나 코치로 전향한다.
또한 부상이 심각해서 은퇴후회도 관절염이나 디스크 등으로 고생하는 선수들이많다.
역도는 체력자랑이다. 겉보이기에 멋질수도 있다. 그러나 선수자신의 건강에는
문제가 없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역도가 하계올림픽에서의 문제점이라면 동계는 피겨가 아닐까 싶다.
피겨는 동작하나하나가 아름답고, 기타 다른 스포츠보다 여성미가 물씬풍겨 최근인기스포츠로 급부상중이다.
하지만, 피겨는 아름다움뒤에 끝없는 고통이 뒤따른다.
점프를 연습할때마다 뼈는 뒤틀리고 성장은 저하되며 몸의 균형은 한쪽으로 쏠리게 된다.
그와 더블어 좌우 신체가 맞지않아 뒤따르는 휴유증또한 크다. 외국의 사례를 보면
장기의 위치가 변하거나 뼈에 눌려 터지는 현상이 속속 일어난다고한다.
점프뿐만이 아니다. 아름다운 스파이널 시퀸스....
다리를 뒤로 올려 앞으로 활주하는 아름다운자세도 현역선수들은 고통스럽다.
억지로 웃어야하긴 하지만, 다리를 뒤로 뒤틀리는 자세는 중력을 무시하고 그것도 하체를
올림으로써 허리에 가는 무리가 굉장히 크다.
물론 피겨를 하기위해서 유연성과 기초체력을 키워야 하기에 그 부분에서는 도움이 될수도
있지만, 피겨 그 자체가 좋은 운동은 될수가 없다.
피겨역사를 보면 대부분의 선수가 20대를 기준으로 은퇴를한다.
김연아 선수가 자서전에서 '20대라는 나이가 무색하게 피겨는 전성기와 은퇴가 빠르다.'
라고 말했다. 그것은 갈수록 유연성이 약해지고, 체력기반또한 저하되며, 10대때와 달리
점프 하나를 하는대도 두배로 힘이 필요하기때문이다
게다가 한번 부상을 당하면 10대들과 달리 회복하기도 어려워진다.
20대 중후반에서의 부상은 사실상 은퇴를 의미한다. 현역에서도 25세를 넘는
극히 일부만 존재한다.
대부분의 선수의 은퇴경향을 보면, 3위권안에 드는 이유가 부상이다.
10대때야 조금다쳐도 회복속도가 빨랐지만, 나이가 듬으로써 회복력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인간은 23살을 기준으로 몸의 노화가 시작된다.
스포츠스타의 인기도, 피겨를 사랑하는 마음도 좋다.
다만 걱정이 된다면 선수의 몸부터 돌보아가며 운동을 해야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여자 싱글 선수들의 선수 생명과 경력 요약
순위 이름 국가 시즌 은퇴 나이 대회 금 은 동 최고성적 올림픽 올림픽최고 포디움확률 1 슬루츠카야 러시아 13 27 63 30 14 10 월드 2회 우승 3 02년 은 86% 2 부트르스카야 러시아 11 29 50 16 7 6 99 월드 금 2 98년 4위 58% 3 아라카와 일본 12 24 42 6 8 5 04 월드 금 2 06년 금 45% 4 수리야 보날리 프랑스 10 24 42 16 8 4 유로 5연패 3 94년 4위 67% 5 미쉘 콴 미국 12 24 39 19 12 4 월드 5회 우승 2 98년 은 90% 6 카타리나 비트 독일 11 22 30 16 5 0 월드 4회 우승 3 84,88 금 70% 7 구스메롤리 프랑스 7 23 27 1 0 4 97 월드 동 2 98년 6위 19% 8 이토 미도리 일본 10 23 26 11 7 1 89 월드 금 2 92 은 73% 9 이바노바 소련 10 25 25 3 7 2 85 월드 은 3 84 동 48% 10 루 첸 중국 9 21 25 6 3 8 95 월드 금 2 94,98 동 68% 11 라이츠너 독일 9 23 22 3 4 2 89 월드 은 2 88 6위 41% 12 콘드라쇼바 소련 6 22 16 0 2 6 84 월드 은 1 84 5위 50% 13 쥬첸코 독일 5 20 16 4 1 2 94 월드 동 1 94년 6위 44% 14 사라 휴즈 미국 5 17 16 3 4 5 01 월드 동 1 02년 금 75% 15 토냐 하딩 미국 8 23 15 5 4 2 91 월드 은 2 92년 4위 73% 16 맨리 캐나다 8 22 13 1 4 1 88 월드 은 1 88 은 46% 17 야마구치 미국 4 20 13 6 4 1 월드 2연패 1 92년 금 85% 18 유카 사토 일본 4 21 13 3 1 2 94 월드 금 2 94년 5위 46% 19 캐리건 미국 7 24 12 3 3 3 92 월드 은 2 94년 은 75% 20 트레너리 미국 6 23 11 2 4 1 90 월드 금 1 88 4위 64% 21 리핀스키 미국 3 15 11 4 4 1 97 월드 금 1 98년 금 82% 22 섬너스 미국 5 20 9 1 3 1 83 월드 금 1 84 은 56% 23 데비 토마스 미국 4 21 9 4 2 2 86 월드 금 2 88 동 89% 24 티파니 친 미국 5 19 8 3 1 3 86 월드 동 1 84 4위 75% 25 자약 미국 5 19 7 2 2 1 82 월드 금 1 84 6위 71% 26 바이율 우크라 2 16 7 3 3 0 93 월드 금 1 94 금 86% 평균 7.4 21.8 21.8 6.5 4.5 3.0 1.7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