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판타스틱한 세상의 개 같은 나의 일 (홍시) 10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 퓰리처상 수상에 빛나는 이야기의 대가들
일의 기쁨과 슬픔을 그린 32편의 소설 모음집 제1권
(2권 『직업의 광채』 근간)
이 시대 가장 뛰어난 미국 작가들이 이 한 권에 모였다.
도대체 그들에게 무슨 ‘일’이 벌어진 거야!
퓰리처상 수상 작가인 리처드 포드가 편저하여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미국 작가 32인의 소설을 한 자리에 모았다. 도미니카 출신의 젊은 작가 주노 디아스(Juno Díaz), 단편소설의 대가 존 치버(John Cheever), 흑인여성 작가 ZZ 패커(ZZ Packer)… 각기 다른 배경과 세대, 남다른 개성의 작가들의 서른두 편의 소설이 일(work)이라는 공통의 테마 아래 모인 것이다.
‘블루칼라, 화이트칼라, 노칼라’ 시리즈(1권 『판타스틱한 세상의 개 같은 나의 일』 2권 『직업의 광채』)의 뛰어난 단편들은 직업·직책·역할 뒤에 가려진 사람들의 진짜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제목처럼 블루칼라(점원, 배달원, 공장 노동자, 수리공), 화이트칼라(사무직, 변호사, 약사) 외에도 비밀군사기지 연구원, 작가, 카우보이 등 우리와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직업의 세계에 속한 사람들이 이 책의 주인공이다. 또한, 실직의 아픔 역시 직업의 빠질 수 없는 측면이라는 점을 놓치지 않았다.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퓰리처상 수상 작가들 10인─리처드 포드, 존 치버, 주노 디아스, 제프리 유제니디스, 에드워드 P. 존스, 줌파 라히리, 제임스 앨런 맥퍼슨, 유도라 웰티, 애니 프루,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을 포함해 조이스 캐럴 오츠, 리처드 예이츠, 떠오르는 신예 ZZ 패커와 같은 작가들이 시대를 초월해 한자리에서 같은 주제를 펼쳐 보인 흔치 않은 기회이다. 일하는 사람들의 현실을 위해 이보다 더 나은 상상의 단합은 없었다.
우리에게 일이란 무엇인가?
일을 한다는 것은, 일이 없다는 것은 무엇인가?
연애소설 모음집, 추리소설 모음집은 봤지만 일소설 모음집은 처음이다. 일을 주제로 한 이 소설집의 기획자인 리처드 포드에게 일이란 무엇이었을까? 그는 먼저 아버지를 떠올려 보았다.
그랬다. 하루가 길었다. 지독히 외롭고 답답했다. 보수도 그다지 좋지 않았다. 특혜도 없었다. 책상에 앉아 똑같은 일을 반복하는 지루한 일이었다. 그러나 반대편과 비교하면 그런 것들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직업이 없으면 내세울 자존심도 마뜩잖았고, 먹고 살기도 힘들었다. 당연히 임금도 없었다. 아무 것도 없었다. 달리 말하면, 일은 아버지의 윤리적 세계관에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리처드 포드 「서문」
사실 아리스토텔레스(“품삯을 받기 위해 하는 일은 모두 노예의 노동이나 마찬가지다.”) 때나 지금이나 일을 하는 인간은 어쩔 수 없는 무게에 짓눌려왔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일을 통한 자아의 성취라는 신화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누구나 하고 싶어하지만 모두들 하기 싫어하고 아무나 하지 못하는’ 것이 일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리처드 포드에게 일이라는 주제는 복잡한 연애상대 못지 않은 흥미와 도전의 대상이었다.
나에게 일은 관심을 완전히 사로잡고, 도덕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으며, 인간에 대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무엇인가를 밝혀주고 식별하게 해주는 점화 메커니즘이었다. 리처드 포드 「서문」
그렇게 똑똑한데 왜 부자가 되지 못한 거지?
이 책은 “정시에 출근하고 일을 끝내야 하며 일거리를 집에 가져가고 어떻게든 고용되어야 하며, 때로는 해고되고 승진하거나 좌천당하며, 구조조정당해서 집에 보내지고, 때로는 넌더리가 나서 보따리를 쌀 준비를 하지만 돈벌이를 해야 하는 복잡하고 곤혹스런 문제들에 대해 문학에서 위안을 얻으려 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리처드 포드 「서문」
이 책의 주인공들은 가게를 차리기 위해 은행 대출 창구에 앉아 있고, 돌아오는 월요일에는 절대 출근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금요일 밤을 보내고 있다. 주인 없는 슈퍼마켓의 점원, 횡령과 분식회계 따위를 연구하는 출판사 편집자, 직장 상사에게 아내를 빼앗긴 회사원, 당구대를 배달하려다 그 집 여자를 옮긴 배달원, 아이스크림 공장에서 러시아 문학을 읽는 알바의 이야기다. 요약해 보니 우스꽝스럽지만, 작품을 다 읽어보면 우습게도 눈물이 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 책에서 작가 제프리 유제니디스의 작품은 이렇게 시작한다. “당신은 그렇게 똑똑한데 왜 부자가 되지 못한 거지?” 이 문장은 경제경영서의 스테디셀러인 『마케팅 전쟁』의 한 구절이다. 역사상 유래 없는 물질적 생산물이 넘쳐나는 이 시대에 오히려 극심한 박탈감과 결핍에 시달리는 많은 사람들, 그들을 대신하여 소설 속 주인공은 싸움을 건다. 횡령이라는 문제적 방법으로.
“있잖아, 2년이면 치고 빠질 수 있어. 우리는 멋지게 잘 해내고 아무 흔적도 남기지 않을 거야. 그리고 나면 우리 돈을 투자해서 GDP를 성장시키기 위한 우리 몫의 역할을 하는 거지.” 제프리 유제니디스 「위대한 실험」
부당한 승리자들, 불운의 주인공들, 그리고 사랑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
나는 언제부터인가 매사에 걱정을 떨치지 못한다. 이제 나는 지루하다 못해 불안하다. 맥스 애플 「사업 이야기」
『판타스틱한 세상의 개 같은 나의 일』의 첫 소설 「사업 이야기」는 한 중년 여자의 고백으로 시작한다. 문제가 일이 없는 데에 있다면 해결책은 일을 벌이는 것에서 나올 것이다. 그녀의 신개념 요구르트 아이스크림은 길 건너에 위치한 베스킨라빈스에 아랑곳 없이 성공할 수 있을까? 일단 그녀가 벌인 번거로운 일들로 지루할 틈은 없어진 것 같다.
『거리의 법칙』의 작가 러셀 뱅크스가 쓴 속도감 있는 단편 「걸리」는 ‘걸리’라고 불리는 빈민가를 배경으로 법과 윤리가 무너진 곳에서 탄생한 범죄 영웅들이 주인공이다. 살인과 범죄가 판치는 그곳에서 범죄자들을 살해하는 범죄를 저질러 돈을 벌고 영웅이 되는 그들의 모습은 오늘날 세계의 우화적 축소판이다. 톰 코라게선 보일의 「자파토스」는 미국의 신발 유통업체 ‘자포스’를 연상케하는 제목이다. 소설의 배경은 ‘세계에서 가장 길고 메마른 나라’(칠레)인데, 기막힌 방법으로 이탈리아산 수제 구두를 밀수하여 부자가 된다는 내용은 「걸리」처럼 풍자적이다.
세상이 주목하지 않는 사람들(이민자, 노동자)은 이 책의 진정한 주인공들이다. 주노 디아스의 「뉴저지, 에디슨」(당구대/게임기를 배달하는 도미니카 이주자 청년), 스튜어트 다이벡의 「사워크라우트 수프」(시베리아보다 추운 냉동창고의 알바), 에드워드 P. 존스의 「가게」(60년대 뉴욕의 가게에서 일한 흑인 청년) 등은 혹시 노동자를 다룬 소설에 대한 잘못된 편견이 있었다면, 그 시각을 가장 빨리 교정할 소설들이다. 이 소설들은 재미있으면서 무언가를 깨닫게 해준다. 「뉴욕 타임스」의 리뷰어도 이것 하나는 배웠다고 썼으니. “다음에 우리집에 오는 배달원에게는 아주 아주 후한 팁을 주기로 했다.”
지금까지 미국인이 써온 가장 위대한 소설 중 하나,
그리고 그에 필적하거나 능가할 경쟁자들
지금까지 미국인이 써온 가장 위대한 소설 중 하나는 존 치버의 것이다. :: 보스턴 글로브
주노 디아스는 냉정한 저널리스트의 눈과 시인의 혀를 지녔다. :: 뉴스위크
제프리 유제니디스는 오늘날 미국 최고의 젊은 소설가다. :: 뉴요커
리처드 포드는 놀라울 정도의 치밀함으로 일상을 창조해내는 재능과 탁월한 대화 능력을 지닌 참신하면서도 지적인 소설가다. :: 뉴욕 타임스
독창적이고 매혹적이다. 에드워드 P. 존스의 이야기는 모든 독자의 심금을 울려 공감시키고 인정받을 것이다. :: 워싱턴 포스트
최고라는 식상한 수식어를 어쩔 수 없이 동원해야 하는 이름들이다. “이것은 존 치버의 소설이다. 더 이상 무슨 설명이 필요할까.”(정이현 소설가) “존 치버 만큼 미국 단편 문학의 지평을 넓힌 작가는 이제껏 아무도 없다.”(조경란 소설가) 존 치버는 작가 중의 작가라 할 만하다. 소설가 김영하는 주노 디아스의 소설집 『드라운』에 대해 “시궁창’에도’ 꽃이 피는 것이 아니라 시궁창’에만’ 꽃이 핀다는 것, 소설이라는 것의 출신 성분이 본래 그런 ‘잡놈’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썼다. 주노 디아스의 『드라운』에는 본 단편집의 수록작 「뉴저지, 에디슨」이 있다. 『미들섹스』와 『처녀들, 자살하다』로 한국에서도 폭넓은 팬을 확보하고 있는 제프리 유제니디스는 2008년 『뉴요커』에 발표한 신작 단편 「위대한 실험」을 수록했다. 기대했던 날카로운 필력을 확인함은 물론이다.
새로 만나는 작가들을 통해 느끼는 놀라움은 더하다. 리처드 바우시, 앤 비티, 톰 코라게선 보일, 조지 챔버스, 찰스 담브로시오, 니컬라스 델반코, 안드레 더뷰스, 데보라 아이젠버그, 에드워드 P. 존스 등 소설집을 통해 한국에 처음 소개되는 작가들은 모두, 이미 거장 혹은 중견 작가로서 미국의 저명한 문학상들을 다수 획득한 이들이다.
『판타스틱한 세상의 개 같은 나의 일』에 수록된 열일곱 작품은 모두 좋은 단편소설이란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각자의 방식으로 답하는 재미있고 의미있는 작품들이다. 하지만 일에 대해서 왜, 소설을 읽어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이들이 있을까 이 책의 편저자는 다음과 같이 답변을 준비해 두었다.
우리가 어떤 일을 하고 일을 어떻게 정의하든 간에 일은 인간사에서 한복판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가 인간사에 대해 알고 있는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일의 진실한 모습도 우리 상상의 행위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리처드 포드 「서문」
그렇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
“셰익스피어? 셰익스피어가 이제까지 쓴 책을 다 합쳐도 설계가 잘 된 다리 하나보다 못하다는 걸 모르는 거니?” 스튜어트 다이벡 「사워크라우트 수프」
● 작가 소개
맥스 애플(Max Apple, 1941~)은 미국 미시건 주 그랜드래피즈에서 태어나 1970년 미시건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단편집 『The Oranging of America, Free Agents』와 『The Jew of Home Depot and Other Stories』를 펴냈으며 소설 2편과 논픽션 2편, 다수의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미국예술기금과 구겐하임 재단의 지원금을 획득한 바 있으며, 현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러셀 뱅크스(Russel Banks, 1940~)는 매사추세츠 주에서 태어나 뉴햄프셔에서 자랐다. 가난한 노동자 집안에서 태어나 작가로 자리 잡기 전 배관공, 신발 판매원, 창유리 절단공 등 여러 가지 노동을 전전했다. 존 도스 패소스 상, 잉그램 메릴 상, 미국문예아카데미상, 구겐하임 펠로우십 등을 받았으며 현재 뉴욕 주 북부에 살고 있다. 한국어판 출간작으로 『달콤한 내세』, 『거리의 법칙』이 있다.
도널드 바셀미(Donald Barthelme, 1931~1989)는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 텍사스 주 휴스턴에서 자랐다. 1953년 입대해 한국전쟁 종군기자로 복무했다. 소설 4편을 비롯해 다수의 단편소설집을 출간했으며 그중 『Sixty Stories』로 펜/포크너 상을 수상했다. 생애 마지막 10년 동안 모교인 휴스턴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문예창작과정 개설에 기여했다. 한국어판 출간작으로 『백설공주』, 『죽은 아버지』가 있다.
리처드 바우시(Richard Bausch, 1945~)는 조지아 주 포트베닝에서 태어났다. 현재 멤피스 대학교 문예과정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작품으로 『Peace, Hello to the Cannibals』, 『The Last Good Time』, 『Mr. Field’s Daughter』, 『In the Night Season』, 『Wives & Lovers』, 『Something Is Out There』 등이 있으며, 전미잡지상 2회 수상과 더불어 구겐하임 펠로우십과 펜/맬러머드 상을 받았다.
앤 비티(Ann Beattie, 1947~)는 7편의 소설과 8권의 단편소설집을 발표했다. 그녀의 작품은 『미국 우수단편선』에 실렸으며, 오헨리 단편소설상을 4회 수상했다. 최근 작품으로 중편소설 『Walks With Men』과 문집 『The New Yorker Stories』 등이 있다. 현재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에드거 앨런 포를 가르치고 있다.
톰 코라게선 보일(Tom Coraghessan Boyle, 1948~)은 20권이 넘는 소설과 단편집을 발표했다. 최근작으로는 『The Women』, 『When the Killing’s Done』, 『Wild Child & Other Stories』 등이 있다. 오헨리 단편소설상을 5회 수상했으며, 펜/맬러머드 상, 펜/포크너 상, 구겐하임 펠로우십 등을 받았다. 1978년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진에 합류했으며 현재 영문학 특훈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지 챔버스(George Chambers, 1928~1997)는 단편집 『The Bonnyclabber』, 『The Scourging of W.H.D. Wretched Hutchinson』, 『The Last Man Standing』, 『Null Set』를 썼다. 최근에는 레이먼드 페더만과 공동집필한 단편집 『The Twilight of the Bums』가 재출판 되었다.
존 치버(John Cheever, 1912~1982)는 4편의 장편과 수많은 단편소설을 썼다. 첫 번째 소설 『왑샷 가문 연대기』로 전미도서상을 수상했다. 1978년에 『존 치버 단편선집』은 소설로는 최초로 퓰리처상, 전미도서상, 전미도서비평가상을 모두 수상하는 기록을 세웠다. 한국어판 출간작으로 『왑샷 가문 연대기』, 『왑샷 가문 몰락기』, 『팔코너』, 『존 치버 단편선집』이 있다.
찰스 담브로시오(Charles D’Ambrosio, 1958~)는 단편소설집 『The Point』와 『The Dead Fish Museum』, 에세이집 『Orphans』를 발표했다. 이중 『The Point』는 헤밍웨이재단/펜 문학상 최종후보에 올랐다. 2006년 화이팅 작가상을, 2008년에는 래넌 재단 펠로우십을 수상했다. 현재 포틀랜드주립대학교에서 영문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니컬라스 델반코(Nicholas Delbanco, 1942~)는 소설과 논픽션을 두루 집필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What Remains』, 『The Count of Concord』, 『Anywhere Out of the World』등이 있다. 2011년에 그의 25번째 작품 『Lastingness: The Art of Old Age』가 출간되었다. 구겐하임 펠로우십을 1회, 미국예술기금 펠로우십을 2회 받았다. 전미도서상 픽션부문 심사위원장을 지낸 바 있다.
주노 디아스(Junot Díaz, 1968~)는 도미니카 산토도밍고에서 태어나 1974년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 뉴저지에서 성장했다. 2008년 작 장편 『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으로 퓰리처상을 받았다. 현재 MIT에서 문예창작을 강의하고 있다. 소수민족 작가들을 위한 작가양성과정 'The Voices of Our Nations Arts Writing Workshop'의 창립 멤버이다.
안드레 더뷰스(Andre Dubus, 1936~1999)는 루이지애나 주 레이크찰스에서 태어났다. 주요 단편집으로 『Dancing After Hours』, 『Adultery and Other Choices』, 『The Last Worthless Evening』, 『Finding a Girl in America』 등이 있다. 중편소설 『We Don’t Live Here Anymore』가 2004년 영화로 만들어졌다.
스튜어트 다이벡(Stuart Dybek, 1942~)은 시카고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랐다. 유년기의 지역 이주자(폴란드, 체코, 히스패닉 등) 사회의 경험이 작품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단편집 『Childhood and Other Neighborhoods』, 『I Sailed with Magellan』, 『The Coast of Chicago』와 시집 『Brass Knuckles』, 『Streets in Their Own Ink』가 있다.
데보라 아이젠버그(Deborah Eisenberg, 1945~)는 단편집 『Transactions in a Foreign Currency』, 『Under the 82nd Airborne』, 『All Around Atlantis』, 『Twilight of the Superheroes』를 발표했다. 화이팅 작가상, 리어 단편소설상, 미국문예아카데미상을 받았으며 오헨리 단편소설상을 5회 수상했다. 현재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소설창작을 가르치고 있다.
제프리 유제니디스(Jeffrey Eugenides 1960~)는 디트로이트에서 태어나 브라운 대학교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93년 작 『처녀들 자살하다』가 소피아 코폴라 감독의 동명영화로 만들어졌다. 두 번째 소설 『미들섹스』는 퓰리처상과 앰배서더 도서상을 받았고, 전미도서비평가상의 최종후보에 올랐다.
리처드 포드(Richard Ford, 1944~)는 미시시피 주 잭슨에서 태어났다. 문학석사를 받았고 잠시 로스쿨을 다니기도 했다. 대학 졸업 후 잡지 편집자, 스포츠지 기자 등의 일을 했다. 장편소설 중 『Independence Day』는 퓰리처상과 펜/포크너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2007년 작 『The Lay of the Land』는 전미도서비평가상 최종후보에 올랐고 뉴욕타임스가 올해의 책으로 선정했다. 한국어판 출간작으로 『스포츠라이터』, 『여자에게 약한 남자』, 『잃어버린 나날들』이 있다.
에드워드 P. 존스(Edward P. Jones, 1951~)는 워싱턴 D. C. 출신이다. 1992년에 첫 번째 단편집 『Lost in the City』을 펴냈다. 그 후 소설 『The Known World』로 2004년에 퓰리처상과 전미도서비평가상을, 2005년에 국제 IMPAC 더블린 문학상을 수상했다. 2006년, 첫 번째 단편집처럼 미국 흑인들의 삶을 주제로 한 두 번째 단편집 『All Aunt Hagar’s Children』을 발표했다. 현재 조지워싱턴 대학교에서 문예창작을 가르치고 있다. 2010년 펜/맬러머드 상을 받았다.
● 옮긴이 소개
강주헌
1957년 서울에서 태어나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브장송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건국대학교 등에서 언어학을 강의했으며, 2003년 ‘올해의 출판인 특별상’을 수상했다. 번역한 책으로는 『문명의 붕괴』,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지식인의 책무』,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스펜서 존슨의 선물』, 『일상, 그 매혹적인 예술』, 『예수처럼 기도하라』, 『밤의 도서관』, 『베아트리스와 버질』, 『슬럼독 밀리어네어』 등 100여 권이 있고, 저서로 『기획에는 국경도 없다』 등을 썼다.
하윤숙
서울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했고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트위스티드리버에서의 마지막 밤 1, 2』, 『울프홀 1, 2』, 『진화의 종말』,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권력자들』, 『선의 탄생』, 『파리 탱고』 등이 있다.
● 목차
서문 – 리처드 포드
사업 이야기 - 맥스 애플
걸리 - 러셀 뱅크스
나와 맨디블 양 - 도널드 바셀미
부당한 일 - 리처드 바우시
일하는 여자 - 앤 비티
자파토스 - 톰 코라게선 보일
(내 아버지가 프랭클린 D. 루스벨트처럼 생겼다고 생각했다) - 조지 챔버스
사과의 세상 - 존 치버
드러먼드와 아들 - 찰스 담브로시오
작가들이 하는 일 - 니컬라스 델반코
뉴저지, 에디슨 - 주노 디아스
배달 - 안드레 더뷰스
사워크라우트 수프 - 스튜어트 다이벡
설계의 결함 - 데보라 아이젠버그
위대한 실험 - 제프리 유제니디스
사각지대 - 리처드 포드
가게 - 에드워드 P. 존스
● 책 속으로
12월 9일
다시 재앙이 닥쳤다. 내일 나는 의사에게 진찰을 받으러 가야 한다. 쉬는 시간에 맨디블 양과 내가 화장실에 있다가 수 앤 브라운리에게 들켰다. 맨디블 양은 두 다리를 훤히 드러내고 내 허리를 감싸고 있었다. 잠시나마 나는 수 앤이 숨 막혀 죽을 거라고 생각했다. 수 앤은 울면서 화장실을 뛰쳐나가 교장실로 곧장 달려갔다. 이제 우리 중 누가 데비이고, 누가 에디이며, 누가 리즈인지 확실해졌다. 나는 수 앤에게 환멸감을 안겨줘서 미안하지만, 그녀가 다시 회복될 거라고 확신한다. 맨디블 양은 파멸했지만 욕망을 채웠다. 미성년자 범죄를 조장했다는 이유로 나중에 기소되더라도 맨디블 양의 마음은 편할 듯하다. 자신에게 한 약속을 지켰잖은가. 이제 맨디블 양은 삶에 대해서, 또 미국에 대해서 들었던 모든 것이 사실이라는 걸 깨닫는다. 도널드 바셀미 「나와 맨디블 양」
“현실적인 사람이 되어야 해. 늘 실제적인 것에 마음을 둬. 나는 어릴 때 닉 카터가 나오는 탐정 이야기를 많이 읽었지. 아마 수백 개는 읽었을 거야. 그러던 어느 날 문득 한 가지 물음이 떠올랐지. 이건 현실에 필요한 것일까, 아니면 사람들이 또 다른 방법으로 날 속여 먹는 것일까? 누가 도와줄까? 나일까, 닉 카터일까? 이후 난 닉 카터 이야기를 한 번도 읽지 않았지.”
“하지만 셰익스피어도 있잖아요.” 내가 말했다.
“셰익스피어? 셰익스피어가 이제까지 쓴 책을 다 합쳐도 설계가 잘 된 다리 하나보다 못하다는 걸 모르는 거니?” 스튜어트 다이벡 「사워크라우트 수프」
전화벨이 울렸다. 몬테시토에서 걸려온 지미의 전화였다.
“안녕하세요, 지미 씨, 어떻게 지내세요?”
“나쁘진 않아. 이제 겨우 오후 세 시밖에 안 되었는데 내 물건이 벌써 세 번이나 벌떡 벌떡 섰다고.”
역겨울 정도로 돈이 많아서 좋은 점이 있다면 이런 말을 내뱉을 수 있는 자유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미의 경우는 돈보다 점잖지 못한 언행이 먼저였다. 그가 돈을 벌어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었을 것이다. 제프리 유제니디스 「위대한 실험」
◆ 응모방법: 이 책을 읽고 싶은 이유를 적어주세요.
◆ 모집 기간 : 8월 15일 ~8월 23일
◆ 모집 인원 : 10명
◆ 발표일 : 8월 24일
◆ 서평 작성 마감일 : 책수령 후 2주 이내 (→책수령과 서평완료 댓글로 확인)
응모 자격:(쪽지는 처음 신청하시는분과 연락처 변경된분만 보내세요) ◆ 정회원만 신청 가능합니다. (준회원인 경우 등업 신청을 받으세요-지역별 모임방) ◆ 위의 내용을 스크랩 하시고 댓글로 신청을 남겨주세요. → 1.닉네임: 2.이름: 3:신청도서 4:주소 정확히(우편번호 포함): 5 :핸드폰번호: 6:직업: 7: 아이디 댓글 응모를 하시고,쪽지로 1~7번까지의 내용을 예쁜글씨 앞으로 보내주세요.
◆ 회원정보에 실명기재 확인, 블로그 공개 확인 합니다.(스크랩 확인) ◆ 책수령 후 2주안에 자신의 블로그와 독서클럽, 인터넷 서점(YES24, 알라딘, 교보문고, 인터파크, 리브로 등) 중 2곳에 서평을 남겨 주셔야 합니다
◆ 서평 이벤트 당첨 확인 후 출판사 담당자에게 메일로 책 받을 배송정보를 보내고 댓글로 확 인을 남겨주셔야 합니다.(→이벤트 당첨자 발표) |